
오는 6월 한국이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 지수 관찰대상국(워치리스트)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는 가운데 금융당국은 신중한 태도를 유지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월례 기자간담회에서 MSCI 관찰대상국 등재와 관련해 “(미국) 출장에서 이런 정부의 노력을 정당하게 평가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밝혔다.
MSCI는 2023년 10월 단행된 공매도 금지 조처로 인한 시장 접근성 제한을 지적하면서 지난해 6월 한국을 신흥국 시장으로 유지했다. MSCI는 매년 6월 세계 증시 분류 결과를 발표한다. MSCI 선진국 지수에 편입되려면 후보군인 관찰대상국에 1년 이상 올라야 한다. 올해 3월 말 공매도를 전면 재개한 만큼 시장은 한국 증시가 조만간 MSCI에 들어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김 위원장은 지난달 미국 뉴욕에서 MSCI 최고위급 경영진을 만나 “향후 선진국 지수 편입 심사 시 외국인투자자의 한국 자본·외환시장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그간 한국 정부가 추진해 온 정책 노력을 정당히 평가해 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이날 김 위원장은 “중요한 건 투자자들의 정성적 평가”라며 “정성적인 평가가 우리의 제도 개선을 어느 정도 체감할지, 평가를 받아봐야 하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더 기다려야 봐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한 금융위가 검찰에 고발한 삼부토건 주가 조작 사건을 금감원에 다시 이첩한 것과 관련해 “검찰에서 어떤 방식이 더욱 적절하다고 판단하는지에 따라 조치가 이뤄질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상법 개정안 추진과 관련해서는 “6월 이후에 본격적으로 논의가 될 것”이라며 “다시 논의할 수 있는 회의가 열리면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적극적으로 입법될 수 있도록 논의하고, 추가적으로 보완이 필요하다면 융통성을 갖고 지배구조 개선이 도움이 되는 방안이란 차원에서 탄력적으로 대응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