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내년 의과대학 본과 임상실습과 전공의 수련은 지역의료원과 2차 병원을 통해 분담할 수 있다고 발표한 데 대해 의대 교수들이 “주먹구구식으로 분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의대교수협)는 14일 성명서를 내고 “교육의 질을 유지하기 위한 고민과 준비 없이 땜질식 처방으로 교육을 해선 안 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12일 2026년도 의대 예과 1학년 수업 규모는 1만명이 아닌 약 6000명 수준이며, 본과 임상실습과 전공의 수련을 지역의료원이나 2차 병원 등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보건복지부, 지자체와 협력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의대교수협은 “대규모 증원 시 교육병원들이 정상적인 임상실습과 전공의 수련을 감당할 수 없다는 걸 정부가 인정한 꼴”이라며 “결국 윤석열표 의대 증원은 교육 여건이나 교육의 질을 도외시한 폭압적 정책이었고, 복지부와 교육부는 그걸 땜질하느라 바빴다”라고 전했다.
이어 “교육부는 잘못된 의대 증원 정책을 고수하기 위해 땜질 처방으로 일관해 의학교육 현장을 파국으로 내몬 것에 대해 사과해야 한다”면서 “처음부터 잘못 채워진 단추를 그냥 놓아둔 채 미봉책만 나열해선 근본적인 해결이 불가능하다. 정부는 오류를 인정하고 근본적 수습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대생 8000여명이 유급 대상자로 확정된 것과 관련해선 “교육부는 무리한 강요와 압박을 통한 대학 학사 운영 간섭을 중지하고,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호하기 위해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국 40개 의대가 제출한 유급·제적 대상자 현황에 따르면, 의대 재학생 1만9475명 중 8305명(42.6%)이 유급, 46명(0.2%)이 제적 대상자로 확정됐다. 최종적으로 유급·제적 등 처분 없이 1학기 수업에 참여 가능한 인원은 6708명으로, 전체 의대생의 34.4% 규모다. 이 중 예과생이 2989명, 본과생이 3719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