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재단 “기념식, 총 든 군인 배치 유감”…보훈부 “경호 인력”

5·18재단 “기념식, 총 든 군인 배치 유감”…보훈부 “경호 인력”

기사승인 2025-05-18 18:18:24
18일 오전 광주 북구 5·18 민주묘지에서 제45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엄수되고 있다. 연합뉴스

5·18 기념재단이 제45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과 관련해 무장 군인을 배치하고 ‘죽은 군인을 위한 노래’를 사용한 것에 대해 유감을 표했다.

재단은 18일 “기념식 중 묵념할 때 ‘죽은 군인을 위한 노래’를 사용했고, ‘헌화’ 도우미도 제복을 입은 군인(혹은 경찰)이었으며, 기념식 무대 좌우에 무장 한 군인을 배치한 것은 상당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5·18 민주화운동은 1980년 계엄군의 살인 진압에 맞서 시민들이 죽음으로 민주주의를 지켜낸 사건”이라며 “5·18민주화운동을 기념할 때는 희생자들의 뜻을 기리고 유가족과 광주 시민 그리고 국민을 중심에 두고 의식을 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재단은 “기념식 무대 좌우에 무장한 군인을 배치했는데 비상계엄 때 국회에 출동한 계엄군과 비슷한 복장이었다”며 “5·18 가해자인 군인이 무기를 들고 서 있는 기념식을 누가 무엇 때문에 준비한 것이냐”고 비판했다.

또 “정부 대표 이주호 권한대행의 기념사에는 ‘5·18정신 헌법전문 수록’, ‘진상규명 지속’, ‘기념사업법 제정’, ‘유공자 처우 개선’ 등 5·18민주화운동을 해결하기 위한 그 어떤 내용도 없었다”며 “정부는 기념의 대상이 누구인지, 왜 민주화운동이 발생했는지, 누가 가해자이고, 피해자인지를 잘 고려해 기념식을 준비하기 바란다”고 했다. 

이에 국가보훈부는 “재단이 지적한 ‘무장 군인’은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등 행사에 참석한 주요 인사를 경호하기 위한 경호 인력”이라며 “경호는 예년 수준이었다”고 밝혔다.

‘묵념곡’에 대해선 “정부의전편람에 명시된 묵념곡으로 최근 5년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도 사용됐다”며 “헌화 도우미는 보훈부 소속 국립임실호국원 의전단으로, 군인이나 경찰이 아닌 민간인”이라고 설명했다.

 

임지혜 기자
jihye@kukinews.com
임지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