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46%·김문수 32%·이준석 10% [NBS]

이재명 46%·김문수 32%·이준석 10% [NBS]

이준석, 첫 두 자릿수 지지율 진입
당선 전망은 李 67% 金 23%…3배가량 차이
대선 후보 선택 기준…리더십과 위기대응 능력·도덕성과 청렴성

기사승인 2025-05-22 15:09:0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왼쪽부터)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 한지영 디자이너

대선 후보 지지도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46%,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32%,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는 10%를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22일 발표됐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9일부터 전날까지 만 18세 이상 남녀 1천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에 따르면 이같이 집계됐다.

김문수 후보와 이준석 후보의 지지율은 전주 대비 각각 5%p(27%→32%), 3%p(7%→10%) 올랐지만, 이재명 후보는 5%p(49→46%) 하락했다. 이준석 후보는 처음으로 두 자릿수 지지율 문턱을 넘었다.

대선후보 지지 강도를 물어본 결과 ‘계속 지지할 것’이라는 응답이 83%였다. 후보별로는 이재명 후보 지지층의 86%, 김문수 후보 지지층의 89%, 이준석 후보 지지층의 62%가 계속 지지할 것이라는 의사를 밝혔다.

지지 여부와 관계없이 당선 전망을 묻는 질문에는 이재명 후보가 67%를 기록하며 김문수 후보(23%)보다 44%p 높게 나타났다. 무려 3배가량 높은 수치다. 

유권자들이 가장 중요한 여기는 대선 후보 선택 기준은 리더십과 위기대응 능력(26%)과 후보자의 도덕성과 청렴성(25%)으로 나타났다. 정책 공약의 실현 가능성(19%)과 정권 교체 또는 유지(9%)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번 대선에서 ‘반드시 투표할 것’이라고 답한 적극 투표층은 87%를 차지했다. ‘가능하면 투표할 것’이라고 답한 소극 투표층은 9%로 지난주(적극 투표층 83%·소극 투표층 11%)보다 적극 투표층이 많아졌다. 

지난 18일 열린 첫 번째 대선 후보자 TV 토론회에서 가장 잘한 후보로는 이재명 후보(42%)가 꼽혔다. 이준석 후보(28%)와 김문수 후보(19%) 등이 뒤를 이었다. 진보층과 중도층에서는 이재명 후보(72%·41%)가 우세했지만, 보수층에서는 김문수 후보(39%)와 이준석 후보(37%)가 높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국내 통신 3사가 제공하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면접조사로 실시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 응답률은 26.7%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NBS 제공
김다인 기자
daink@kukinews.com
김다인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