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지난 대선에서 양당이 공통으로 내놓은 공약을 추진하기 위해 민생공약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진성준 민주당 정책위의장과 이정문 정책위 수석부의장, 김정재 국민의힘 정책위의장과 김은혜 원내정책수석부대표는 7일 오전 국회에서 상견례를 겸한 회동을 갖고 공통공약 입법 추진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민생이 정말 어렵다. 민생 회복을 위해서는 여야가 함께 머리를 맞대고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정재 정책위의장도 “민생입법을 서로 협의해서 국민을 위해 좋은 결과물을 만들어내 물꼬를 트는 자리가 되길 희망한다”고 했다.
양당은 지난 대선에서 여야 공통 공약이 약 100~200건 정도 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민주당은 여야 공통 공약 중 80여건의 법안에 대해 국회 입법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향후 여야는 민생공약협의체 가동에 앞서 공동 추진할 공약이 무엇인지 각 당별로 정리하기로 했다.
이날 상견례에서는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2·3조 개정안), 방송3법(방송법·방송문화진흥회법·한국교육방송공사법 개정안) 등 ‘쟁점 법안’에 대한 언급도 오갔다.
김 정책위의장은 “이견이 있는 법안이 일방적으로 통과되는 것이 아니라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시간이 걸리더라도 합리적 대안을 찾아가는 방법을 택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회의 본령인 여야 협의를 거친 법안을 통과하는 게 기본이 돼야 한다”며 “야당과 함께 서로 이견을 조율하고 논의하는 정치적 배려를 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이에 진 정책위의장은 “여야 간에는 정치적인 생각이나 노선이 달라서 이견이 있는 법안들이 많다”며 “여야가 바뀌었지만 그런 만큼 서로 상대 입장을 이해할 수 있는 여건이 됐다. 역지사지로 정책 협의에 임하겠다”고 응수했다.
아울러 양당 정책위의장들은 이번 민생공약협의체 구성을 두고 “협치를 복원하는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일부 국민의힘 공약이 저희보다 훨씬 전향적인 것도 있다. 적극적으로 받아 추진할 생각이 있다”고 말했다. 김 정책위의장도 “여야가 실질적으로 협의를 복원하는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 자주 봤으면 한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