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증원 정책 추진 등에 반발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 4명 중 3명 이상은 ‘윤석열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의료개혁 실행방안 재검토’를 복귀 선결 조건으로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2~5일 전국 사직 전공의를 대상으로 수련 재개를 위한 최소 선결 조건을 물었더니 응답자 8458명 중 76.4%(복수응답 가능)가 이같이 답했다고 7일 밝혔다.
다음으로 △올해 초 군의관 또는 공중보건의사로 입대한 전공의 및 입영 대기 상태의 전공의에 대한 수련 연속성 보장 △불가항력의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등을 복귀 조건으로 내세웠다.
‘전공의 수련을 재개할 생각 없음’이라는 선택지도 있었는데, 대전협은 이 문항을 택한 응답자가 몇 명인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이들 중 72.1%가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등 필수과목 전공의들이었다고 전했다.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는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2월 필수의료 강화를 위해 내놓은 정책으로 △의료 인력 확충 △지역의료 강화 △의료사고 안전망 구축 △보상체계 공정성 제고 정책 등이 포함됐다. 정부가 지난해와 올해 두 차례에 걸쳐 발표한 의료개혁 실행방안엔 상급종합병원 구조 개선과 지역 2차 병원 육성, 비급여·실손보험 개편 등이 담겼다.
대전협 비대위는 이번 설문 결과 등을 바탕으로 의정 갈등 해소를 위한 정부와의 대화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날 취임한 김민석 국무총리는 현재 대한의사협회, 전공의·의대생 단체 대표 등과 만남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김 총리에게 의대생·전공의 복귀와 관련해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