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통일부 명칭 변경 문제에 대해 “검토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밝혔다.
정 후보자는 14일 오전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윤후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이제 이재명 정부가 새로운 출발을 한다. 그런 차원에서 통일부 명칭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 후보자는 명칭 변경과 관련 독일 사례를 들며 “지난 1969년 서독의 빌리 브란트 정권 등장 이후 통일부에 해당하는 ‘전독부’를 ‘내독부’로 바꿨다”라며 “당시 통일을 통해서 대독일주의로 가려고 한다는 우려가 주변국에서 있었다. 반면 내독부로 전환함으로써 주변국의 우려를 씻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명칭 변경은 독·소조약(독일·소련 불가침 조약), 폴란드와 바르샤바 협정, 동서독기본조약, 유엔(UN) 가입까지 이어졌다”며 “동서독에 있어서 대지각 변동이 일어났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다만 통일부의 명칭 변경은 국민의 대표 기관인 국회에서 여야가 함께 의논해야 할 중요한 사안”이라고 덧붙였다.
정 후보자는 앞서 이날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에서 “폐허가 돼버린 남북 관계를 다시 복원하고 무너진 한반도의 평화 공존 체제를 재구축해야 한다”며 ‘1단계 화해협력’부터 재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자유의 북진이 아닌 평화의 확장으로 적대적 대결이 아닌 화해와 협력으로 한반도 평화의 물길을 다시 돌려세워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