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가 국민 안전을 위한 재난 대응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이를 위해 생명안전기본법 제정·인공지능(AI) 기반 대응체계 구축 등 민생·지역 위기 극복 의지를 다졌다.
윤 후보자는 18일 국회 본청 회의실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행정안전부가 하는 모든 일이 국민 행복으로 이어지는 ‘행복안전부’로 거듭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오랜시간 모진세월을 견딘 사회적 참사 희생자와 유가족의 아픔을 어루만지고 기억하며 다시는 무고한 국민이 허망하게 희생하는 일이 없도록 혼신의 힘을 다할 것”이라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는 국가의 기본 책무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최근 심화되고 있는 폭염·풍수해 등 여름철 재난을 비롯해 계절마다 발생하는 재난으로 인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며 “나아가 생명안전기본법 등 법제를 정비해 국민 안전권을 구현하고, 재난안전산업·인력을 육성하는 한편 과학적 재난 대응체계 강화를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디지털 역량을 활용해 ‘K-민주주의’를 심화할 ‘AI 민주정부’를 구현한다는 방침도 내놨다.
그는 “인공지능(AI)를 활용한 유능하고 효율적인 AI민주정부를 구현해 AI정부로 세계를 선도하는 국가가 되도록 하겠다”며 “정부차원의 공공 AI 투자로 민간까지 견인해 국가 전체 AI 경쟁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궁극적으로는 AI를 통한 유능하고 효율적인 정부를 구현해 ‘K-민주주의’를 심화시키는 세계 최초·최고의 AI 민주정부를 만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 후보자는 지방소멸 위기 대응과 지방자치 역량 강화에도 힘을 쏟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민생경제 활력을 제고하고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할 것”이라며 “중앙과 지방이 국정운영파트너가 되도록 국가자치분권회의 등 추진체계를 정비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지방 소멸이라는 시대적 과제 해결을 위해 지방소멸대응기금, 인구감소지역지원, 고향사랑기부제 등 행안부 가용 자원을 모든 정책 역량에 동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민선지방자체 30주년을 계기로 재정분권을 추진하고, 지방자치입법권과 자치행정권을 강화해 실질적 지방자치를 강화해 중앙과 지방이 수직적 관계가 아닌 균형을 이루도록 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