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서울시당위원장 경선 늦어져…‘당헌·당규’ 적용 여부는?

野, 서울시당위원장 경선 늦어져…‘당헌·당규’ 적용 여부는?

후보자 이견 시 ‘당헌·당규’ 9조 대의원 경선 명시
서울시당 선관위 “후보 설득 중…(대의원 경선) 모든 가능성 열려”
野 관계자 “선관위에서 후보 설득 이해할 수 없어”

기사승인 2025-07-29 18:22:35
서울 국민의힘 중앙당사. 쿠키뉴스 자료사진

국민의힘 서울시당위원장 경선이 전당대회가 다가옴에도 지연되는 중이다. 서울시당은 추대와 대의원 경선을 결정하지 않고, 계속 설득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당헌·당규 문제를 제기했다.

29일 국민의힘 관계자에 따르면 서울시당은 아직도 선출 과정에 관해 결정을 내리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시당 관계자는 후보들을 만나 ‘합의’ 방식을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일부 후보자들이 반대한 상황이다.

국민의힘 시·도당위원장 경선은 합의할 수 없을 경우 대의원 경선을 하도록 규정했다. 국민의힘 당헌·당규 제9조(시·도당위원장의 선출)를 살펴보면 등록후보가 1인이거나 투표일 전날까지 타후보자의 사퇴·사망으로 후보가 혼자 남으면 선출할 수 있다고 규정했다.

그렇지 않다면 시·도당대회에서 제적대의원 과반수 투표를 통해 최다득표자를 가리게 돼 있다. 다만 취약지역은 최고위원회 결정으로 정족수를 바꿀 수 있다. 최다득표자가 2인이면 연장자가 선출되는 조항도 있다.

국민의힘 서울시당위원장은 지난 16일 ‘지역 책임당원 투표제’ 혁신안 도입을 명분으로 13일째 정지된 상황이다. 전당대회도 20여일 남아 시간이 많지 않다.

서울시당 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가 후보자를 설득하면서 잡음이 나오고 있다. 서울시당 측은 합의라고 표현하면서, 원외당협위원장의 공통된 의견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당위원장 ‘추대’를 설득 여부에 대해서는 합의와 용어가 다르다고 말했다.

서울시당 선관위 관계자 A씨는 쿠키뉴스와 통화에서 “당협위원장들의 의견을 잘 취합해서 경선이 없이 가자는 것으로 추대와는 용어의 차이가 있다”고 밝혔다. 해당 관계자에게 ‘대의원 경선’ 가능성에 대해 묻자 “그때 가봐야 안다”고 답했다.

이어 A씨는 ‘당헌·당규대로 진행되냐’는 물음에 “지금 모든 가능성이 있다. 원외당협위원의 전체의견이다. 공통된 의견”이라고 말했다. 다만, 원외당협위원장은 당헌·당규상 시·도당위원장 선거에 영향을 줄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두고 당 일각에서는 지난 대선 후보 교체 때와 다를 게 없다고 비판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본지와 통화에서 “이미 당헌·당규로 경선 규칙이 나와 있다. 선관위 측이 후보자를 설득하러 다니는 게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선관위는 정해진 규칙이 잘 지켜지는지 선거를 관리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선관위의 설득으로 선거가 진행되면 대선 당시 후보교체 파동과 뭐가 다르냐”며 “현재 해당 사건은 당무감사위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고 질타했다.
임현범 기자
limhb90@kukinews.com
임현범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