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융합기술원, 8년간 262건 연구…금융권 AI 내재화 선도

하나금융융합기술원, 8년간 262건 연구…금융권 AI 내재화 선도

기사승인 2025-08-25 12:01:06
하나금융그룹 명동사옥. 하나은행 제공 

하나금융융합기술원이 은행·증권·보험 등 그룹 전반으로 성과를 확산시키며 금융 AI 혁신의 선도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난 8년간 262건의 연구 과제를 수행하며 금융권 최초로 AI 기술을 내재화하는 성과를 거뒀다. 

25일 하나금융그룹에 하나금융융합기술원은 2018년 1월 금융권 최초의 AI 연구개발 전담조직으로 출범했다. 하나금융티아이 사내 독립기업으로 시작했으며, 초기 10명 규모에서 현재는 73명으로 성장했다. 이 중 약 90%가 석·박사급 연구인력으로 금융권 최고 수준의 AI 전문기관으로 성장했다.

2010년대 후반 금융권에 AI 연구조직이 잇따라 생겨났지만 대부분 흐지부지된 반면, 하나금융융합기술원은 AI가 기업의 미래를 좌우할 핵심 기술이라는 판단 아래 꾸준히 연구를 이어왔다. 8년간의 연구 성과가 가시적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다.

최근 하나은행이 운영한 체험형 금융플랫폼 ‘아이부자 앱’의 장래희망 사진전 이벤트가 대표적이다. 자녀 사진과 장래희망을 입력하면 가상의 이미지를 생성해 주는 행사로, 5000건 이상의 결과물이 만들어졌다. 이는 기술원이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 덕분이다. 지난해 하나은행이 은행권 최초로 선보인 AI 명함에도 같은 기술이 활용됐다.

생성형 AI는 단순 이미지 생성에 그치지 않는다. AI-OCR과 결합해 대규모 문서를 자동 인식하고 여신심사·청구 같은 업무를 단축시켰다. 금융 문서에 특화된 AI-OCR 고도화는 직원들의 반복 업무 부담을 덜어주고, 고부가가치 분야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다.

Transformer 기반의 AI-OCR은 문서 구조와 내용을 이해해 비정형 문서를 분류·핵심 내용 추출·신규 패턴 인식 등 다양한 영역에 활용된다. AI-OCR 기술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연간 8만여건의 문서를 처리하는 하나은행의 수출입문서 핵심내용 자동 추출 △하나증권 IRP 계좌 과세이연정보 등록 자동화 △하나손해보험의 자동차 주행거리 인식 등이 있다. 해당 기술은 지난 2022년 9월 소프트웨어 품질 인증서와 금융권 최초 ‘GS인증 1등급’을 획득했다. 

현재 기술원이 연구 중인 분야는 데이터사이언스, 자산관리, 자연어 처리, 컴퓨터 비전, AI 플랫폼, 블록체인 등이다. 금융·비금융을 아우르며 향후 기업 성장에 필요한 기술들을 중점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최대 강점은 외부 기술 의존도를 줄이고, 자체 역량으로 금융 특화 AI 솔루션을 내재화한다는 점이다. 자체역량을 기반으로 복잡한 금융 업무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필요 시 외부 전문기업과 협업해 연구 영역도 확장하고 있다. 

하나금융융합기술원 관계자는 “하나금융융합기술원 연구는 최종적으로 현장에서 쓰여야 하는 기술인만큼 각 기술의 로드맵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며 “8년간의 누적된 결과를 통해 그룹 임직원들이 고부가가치 서비스에 집중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 대한민국 최고의 금융그룹으로 성장할 수 있는 실질적 기술을 지속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최은희 기자
joy@kukinews.com
최은희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