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행과 직결되는 고관절. 여러 원인으로 고관절 질환이 나타날 수 있지만, 방치해 질환이 악화된 다음에야 병원을 찾는 일이 적지 않다.
고관절은 움직일 때 체중을 지탱하며, 다리의 걷고 뛰는 운동 기능을 한다. 고관절에는 그 부위를 보호하는 연골이 있는데, 무리한 움직임이나 뒤틀린 자세로 손상을 입게 되면 통증이 생길 수 있다. 고관절이 손상되면 허벅지를 벌리거나 보행 시에 불편함을 느끼지만 위치 상 발견하기 어렵고 초기에는 별다른 통증이 나타나지 않아 방치하기 쉽다.
고관절 충돌증후군은 허벅지뼈 맨 위에 있는 동그란 공 모양의 대퇴골두와 골반쪽에 있는 소켓 모양의 비구 연골이 충돌해 통증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고관절 충돌증후군은 흔한 질병으로, 고관절을 과도하게 굴곡 시키는 자세로 인해 대퇴골두와 비구가 서로 충돌하는 경우가 많다.
무엇보다 퇴행성 변화로 인해 비구 끝이 자라 지나치게 커졌다든가 대퇴골두의 모양이 변하면 고관절을 움직일 때 부딪히기 쉽다. 가령 대퇴골 모양에 문제가 있는 사람이 방바닥에 책상다리로 앉는 자세를 자주 취하면 뼈끼리 마주치는 충돌이 생길 가능성이 매우 크다.
고관절 충돌증후군으로 생기는 통증은 양반다리 등 허벅지를 벌리는 동작에서 쥐가 난 것처럼 저릿한 증상으로 의심해 볼 수 있다. 다리를 좌우로 많이 벌리거나 고관절을 많이 굴곡 시킬 때 통증이 더 심해진다. 초기라면 다리를 양쪽으로 벌리는 동작을 피해야 한다.
고관절을 과도하게 굴곡 시켰을 때만 통증이 나타나 일상에서 가볍게 넘기기 쉽지만, 증상을 방치해 질환의 경과가 진행되면 잦은 충돌로 고관절 비구 연골이 찢어지거나 손상돼 퇴행성 고관절염으로 이환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강북힘찬병원 이광원 병원장은 “고관절 환자들은 문제가 생긴 후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뒤 병원을 찾는 환자가 많다”며 “고관절의 구조적 이상은 X-ray 검사로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쉬어도 통증이 개선되지 않고 반복된다면 상태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김양균 기자 ange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