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재는 이날 한은 창립 71주년 기념사에서 "하반기 이후 역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사항에 대해 말씀드리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이 총재는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 정기회의 이후 기자회견에서 "시장에 (연내 기준금리 인상) 시그널을 줘야 한다는 의견도 있고 금통위에서도 이와 관련해 많은 논의가 있었던 게 사실"이라고 밝히면서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한 바 있다.
그는 당시 금리인상 시그널을 줘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는 말에 "연내 인상 여부는 결국 경제 상황의 전개에 달려 있다"고 답했다.
이날 이 총재가 뚜렷하게 하반기 이후 역점 사항으로 '완화적인 통화정책의 질서있는 정상화'를 우선으로 꼽은 만큼 연내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을 더 강조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 총재는 기념사를 통해 우회적으로 기준금리 인상 근거를 밝혔다.
그는 "우리 경제는 코로나19 충격에 따른 부진에서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며 "대면서비스 회복이 여전히 더디고 취약계층의 고용사정이 아직 어렵지만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설비투자가 견조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소비도 부진에서 점차 벗어나는 모습"이라며 "코로나 위기 초기에 급격한 변동성을 보였던 금융·외환시장도 지난해 하반기 이후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했다. 또 정책당국의 경기부양조치와 백신접종 확대 등으로 하반기 우리 경제의 회복세가 좀 더 뚜렷해질 것이란 전망이다.
그러면서 이 총재는 그간의 과감한 경기부양책으로 금융 불균형이 발생하고 민간 부채 규모가 크게 확대된 것에 대한 우려를 드러냈다.
그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각국의 정책당국이 시행한 전례없이 과감한 경기부양조치들은 갑작스럽게 닥친 위기를 극복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면서도 "그러나 경제주체들의 위험추구 성향이 강화되면서 실물 경제에 빚해 자산가격이 빠르게 상승했다. 그 결과 자산불평등이 심화됐으며 민간부채 규모가 크게 확대됐다. 최근에는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향후 글로벌 인플레이션 상황과 주요국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 변화 등으로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며 "시장 불안 요인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하면 시장 안정화 조치를 적기에 취해야 한다. 최근에는 부동산, 주식뿐 아니라 암호자산으로까지 차입을 통한 투자가 확대되면서 가계부채 누증 문제가 더욱 심각해진 상황으로, 대내외 리스크(위험) 요인들이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정부·감독 당국과 함께 적절한 대응 방안을 강구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jihye@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