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대는 13일 성명을 통해 “오세훈 서울시장과 서울시는 세월호 참사 기억공간이 갖는 상징과 의미를 지우려는 시도를 즉각 중단하라”며 “광장 재구조화 공사가 종료된 이후에도 세월호 참사 기억공간을 시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보존 방안을 마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공사가 종료된 이후 기억공간을 보존할 방안 없이 무조건 철거하라고 통보하며 유가족과의 소통조차 거부하는 행태는 세월호 가족과 시민들을 향한 일방적인 폭력”이라며 “세월호 기억공간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훈 작가와 박래군 인권재단 사람 소장 등이 대표로 있는 생명안전시민넷도 같은 날 오 시장에게 서한을 발송했다. 세월호 기억공간 존치와 세월호 유가족과의 대화를 요청하는 내용이다. 서한에는 “세월호 참사는 단지 침몰사고가 아니다. 국가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 가장 기본적 책무임을 성찰하게 한 역사적 사건”이라며 “기억공간에 대한 존치를 요청드린다. 서울시가 생명 안전의 도시로 상징화되고 기억될 수 있을 것”이라는 내용이 담겼다.
전국대학민주동문협의회(전국민동)와 서울지역대학민주동문협의회(서울민동)도 같은 날 각각 성명을 발표했다. 기억공간 철거방침 철회와 존치 등을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지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5년간 주말마다 분향소를 지키며 국민상주단으로 활동했다. 서울민동은 “진상규명을 바라는 시민의 바람을 외면하고 세월호 참사를 기억에서 지우기 급급해하는 정치적 의도를 의심할 수밖에 없다”며 “세월호 기억공간을 존치하고 참사 진상 규명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4·16해외연대와 리멤버0416, 세월호참사진상규명을위하여 등 세월호 단체들과 개인도 “기억을 금지하지 말라”며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들 단체는 “세월호 기억공간은 기억을 통해 그 무참한 참사의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강력히 희망하는 공간이기도 하다”며 “기억하며 보다 나은 세상을 희망하는 시민들의 마음을 짓밟는 오세훈 시장을 향해 분노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기억공간 존치와 철거 통보 철회, 세월호 유가족 및 시민 면담 등을 촉구했다.
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민변)도 기억공간 존치를 위해 목소리를 보탰다.
4·16연대 등에 따르면 서울시는 지난 5일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에 세월호 기억공간 철거를 통보했다. 오는 21일부터 25일까지 기억공간에 있는 사진과 물품 정리를 요구했다. 철거는 오는 26일 시작될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세월호 유가족과 4·16연대 등은 ‘세월호 기억공간 TF’를 꾸렸다. 지난해 7월부터 서울시와 광화문광장 재구조화를 위한 공사 진행에 따라 이전 방안을 논의해왔다. 세월호 기억공간 TF 측은 공사 완료 후 존치를 촉구했다. 서울시는 우선 철거를 요구해 합의를 보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soyeo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