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금융 키워드, '후불결제(BNPL)‘ [알기쉬운경제]

2023 금융 키워드, '후불결제(BNPL)‘ [알기쉬운경제]

기사승인 2023-01-17 09:00:02
사진=네이버파이낸셜 제공

“외상으로 할게요”
과거에 쉽게 들었던 말입니다. 외상 결제는 현금 없이 무이자로 물건을 사고, 나중에 상품 구매 대금을 납부해 ‘선구매 후결제(Buy Now Pay Later)'로 불리기도 하죠.

디지털 외상 시대
몇 년간 자취를 감췄던 후불결제가 지난 3년간 혁신금융 키워드로 떠올랐습니다. 아마존, 애플, 나이키, 월마트 등 글로벌 주요 업체가 BNPL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유럽의 대중적인 결제 수단으로 자리 잡게 된 거죠. 특히 금융정보가 부족한 ‘씬파일러(금융 이력 부족자‧Thin Filer)’를 포용하면서 금융활동이 제한적인 20대와 사회 초년생을 사로잡았습니다.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장 급증과 맞물려 이커머스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하면서 빅테크 기업들은 경쟁적으로 시장에 침투했습니다. BNPL은 신용카드와 다르게 신용 조회 절차가 없지만 신용카드처럼 무이자, 수수료가 없어 일정 기간에 걸쳐 대금을 나눠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금융 이력이 부족해 소득은 적지만 소비 욕구는 큰 젊은 세대에게 인기를 끌기에 충분한 조건처럼 보입니다. 
 
해외에서 BNPL은 이미 대중적인 결제 수단입니다. 세계 최초로 후불결제 서비스를 선보인 스웨덴의 클라르나는 2020년 기준, 60조 7100억원의 결제 취급액을 기록했습니다. 미국의 어펌(Affirm), 페이팔(Paypal), 호주의 애프터페이(Afterpay)도 BNPL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빅테크 기업, 애플은 자체 결제망으로 BNPL 서비스를 공개하기도 했죠. 미국의 전통 금융 업체인 마스터카드는 지난해 9월 BNPL 서비스를 선보였고, 골드만삭스는 BNPL 기업 그린스카이를 인수했습니다. 

국내도 BNPL 열풍? 카드업계 “미스 타이밍”
우리나라도 온라인 쇼핑이 주요 소비 창구로 자리매김 하면서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토스, 쿠팡 등에서 BNPL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네이버파이낸셜은 지난 2021년 ‘네이버페이 후불결제’를 도입했습니다. 한시적 규제 유예를 받아 BNPL을 시범 운행하는 네이버페이의 후불결제는 만 19세 이상 대상, 가입기간 1년 이상, 매월 최대 30만원 한도의 소액 신용 기회를 제공합니다. 신용등급에 영향을 받던 기존 카드 발급과 차별화한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신용카드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한도가 낮지만, 만 19세 이상인 내국인에게 연회비, 분할납부 수수료 없는 오픈형 서비스라는 점에서 MZ세대 고객 유치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국내 결제 수단의 절대적 우위를 선점하고 있는 카드업계는 어떨까요? 

익명의 카드업계 관계자는 “신용카드가 후불결제인데 우리나라는 신용카드 보급률이 매우 높다”면서 “무이자 혜택이 일반적인 데다 이미 신용카드로 후불결제를 이용하고 있어 BNPL이 보편화 되기는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합니다. 그러면서도 “BNPL은 혁신금융 울타리 안에서 운영되는 걸음마 단계”라며 “가능성이 열려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현대카드는 지난 2021년 7월 운동화 리셀 플랫폼 솔드아웃에 BNPL 서비스인 '카드없이 분할결제'를 카드사 최초로 도입했습니다. 빅테크 네·카·토는 못하는 분납 결제를 지원한다는 특징으로 신용카드 없이 세 번에 걸쳐 결제대금을 나눠 낼 수 있도록 한거죠.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서비스를 잠정 중단했습니다. 시스템 개발 측면에서 업데이트가 필요해 중단했고, 재개 일정은 미정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입니다. 

BNPL이 국내 시장 선점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동일기능 동일규제’가 적용되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신용카드에 비해 한도가 낮은 만큼 BNPL에 대한 과잉규제가 이뤄지지 않아야 한다는 거죠. 특히 씬파일러(금융 이력 부족자‧Thin Filer)인 금융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과소비와 연체율 관리에 대한 방안도 대비해야겠습니다. 

조은비 기자 silver_b@kukinews.com
조은비 기자
silver_b@kukinews.com
조은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