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마이크론 테크놀러지를 상대로 구매금지 결정을 내리면서 미국 반도체 기업에 대한 첫 제재에 나서자 미국 정치권에선 추가 제재로 응수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특히 이번 제재로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는 한국도 미국의 규제에 동참해야 한다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2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 하원의 마이크 갤러거 미중전략경쟁특위 위원장은 이날 성명을 통해 “미국은 미국 기업이나 동맹에 대한 경제적 강압을 용납하지 않을 것임을 중국에 분명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갤러거 위원장은 “미 상무부는 중국 메모리 반도체 기업인 창신메모리(CXMT)를 블랙리스트에 추가 해야 한다”며 “어떤 미국 기술도 수준과 무관하게 CXMT나 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YMTC), 반도체 산업에 있는 또 다른 중국기업에 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CXNT는 중국의 D램 메모리칩 제조업체로, 마이크론이 판매 금지로 시장에서 제외될 경우 가장 큰 수혜를 볼 것으로 예측되는 중국 반도체 기업이다.
또 갤러거 위원장은 한국을 직접 언급하며 중국의 마이크론 제재로 인해 반사이익을 누리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 상무부는 중국에서 활동하는 외국 반도체 기업에 대한 미국의 수출 허가가 마이크론(빈자리를) 채우는데 사용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최근 몇 년 간 중국의 경제적 강압을 직접 경험한 동맹국인 한국도 (마이크론의) 빈자리를 채우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행동해야 한다”고 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중국에 반도체 생산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미국이 지난해 10월 대중국 반도체 장비 수출통제 조치를 발표했을 때 두 기업은 오는 10월까지 1년간 통제 조치를 유예받은 바 있다.
애널리스트들은 중국에서 가장 앞서있는 D랩 업체인 CXMT가 업계 선두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마이크론보다 기술력이 2~3세대 뒤처져 있다고 평가한다. 이번 제재로 세계 3위 메모리업체인 마이크론이 중국 시장에서 사실상 제외되면 중국이 빈 자리를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부문 선두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기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앞서 중국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 산하 인터넷안보심사판공실(CAC)은 21일 성명에서 “검토 결과 마이크론 제품에는 심각한 네트워크 보안 위험이 있다”며 “이는 중국의 중요 정보 인프라 공급망에 심각한 보안 위험을 초래해 중국의 국가 안보에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중국 주요 정보시설 운영자들에게 마이크론 제품 구매를 금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임지혜 기자 jihye@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