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부채한도 협상이 사실상 마무리단계에 접어들면서 디폴트(채무불이행) 우려가 해소되는 양상이다. 이에 따라 미국 증시도 일제히 상승곡선을 그리며 장을 마감했다. 하지만 증권가에서는 당분간 증시 변동성이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와 고용 지표, 소비자물가 발표, 국채 발행으로 인한 유동성 축소 등이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조 바이든 대통령과 공화당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은 지난달 28일(현지시간) 부채한도 상향 최종 합의안을 도출했다. 다음 대선을 포함하는 2024년까지 2년간 부채한도를 상향하는 대신 2024 회계연도 지출은 동결하고 2025년에는 예산을 최대 1%만 증액하는 상한을 두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후 31일(현지시간) 미 하원은 조 바이든 미 대통령과 공화당 소속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이 합의한 부채 한도 상향 패키지 법안 ‘재정책임법’을 통과시켰다. 이 법안은 민주당이 다수당인 상원과 바이든 대통령의 서명을 거치면 발효된다.
부채한도 협상이 사실상 마무리단계에 들어서면서 채무불이행(디폴트) 우려가 사라지자 미국 증시는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 지수는 전장 대비 153.30p(0.47%) 상승한 3만3061.57에 거래를 마쳤다.
이처럼 시장에서는 협상 타결에 따른 안도의 한숨을 내쉬고 있다. 하지만 증권가에서는 증시 변동성이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미국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FOMC(6월14일)와 국채 발행으로 인한 유동성 축소 영향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 FOMC 전까지는 금요일 비농업고용지수, 13일 CPI의 발표가 예정돼 있다.
한재혁 하나증권 연구원은 “국채 발행으로 인한 유동성 축소도 증시 변동성 요인으로, 타결 직후에는 시장의 불확실성 해소로 인한 단기적 반등도 가능할 것”이라며 “하지만 부채한도 협상의 타결로 인해 국채 추가 발행이 가능해진다면 시중의 유동성을 흡수하게 될 것이며, 증시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미 모건스탠리에서도 증시의 불확실성은 커지고 채권 시장의 불안은 가중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모건스탠리의 비시와나스 티루파투르는 퀀트 리서치 헤드는 “부채한도 교착이 해결되면 따라올 리스크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부채한도 상향 법안이 의회를 통과하면 재무부가 국채를 대규모로 발행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2011년만큼의 혼란은 없겠지만 잠재적 위기가 해결된 이후에도 주가를 흔들 수 있는 요인들이 몇 개 있다”며 “투자자들이 대거 발행되는 단기채를 사들이면서 주식과 다른 자산을 위한 유동성을 위축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가운데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패트릭 하커 총재는 6월 금리인상을 일단 건너 뛰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부채한도 협상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불안정성 요인을 최대한 없애자는 주장으로 풀이된다. 그는 “적어도 이번 회의(6월 FOMC)에서는 금리인상을 건너 뛰어야 한다”며 “일부 문제들이 최소한 어느 정도 저절로 해결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또 다른 인상을 고려할 수는 있다”고 말했다.
김동운 기자 chobits3095@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