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정치에서 ‘청년’에 관한 논의가 사라졌다. 국정감사가 한창 진행 중이지만, 청년 문제는 크게 다뤄지지 않고 있다. 또 총선을 앞두고 청년 정치의 확대를 주장하는 의견조차 한마디 없다.
24일 쿠키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총선을 170여 일 남긴 가운데 여의도 정치권에서는 청년 정책 및 관련 토론회를 찾아보기 힘들다. 일반적으로 총선을 앞두고 부동층인 청년층 표심을 얻기 위한 의례적인 청년 표심 노력이라도 있었지만, 지금은 그마저도 뚜렷하지 않다.
국회 정보 시스템상 지난 8월 이후 국회에서 열린 토론회 및 세미나 418건 중 청년 관련된 주제는 13건(3%)에 불과하다.
21대 총선을 앞두던 지난 2019년과는 정반대다. 4년 전만 하더라도 정당들은 앞다퉈 ’청년 정치’에 대한 토론회를 개최하고 ‘청년’, ‘청년 정치’라는 말을 관행처럼 사용했다. 새로운 변화를 갈망하는 상황에 ‘청년 네이밍’을 통해 표심을 갈구했다.
당시 김혜영 민주당 최고위원은 “2030세대가 대한민국 전체인구의 30% 가까이 차지하나 20대 국회의원은 없고, 30대도 단 3명에 불과하다”며 “내년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후보 추천에서 최소 30% 이상을 2030세대로 추천하자”고 당에 공식 제안했다.
총선을 앞둔 시점임에도 특히 청년이 주목받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정쟁으로 점철되는 정치 현실 때문으로 분석된다. 올해 초까지만 하더라도 여야는 청년 조직들을 출범하면서 총선에 대비해 청년 문제를 다룰 준비에 나섰다. 하지만 이재명 방탄 논란을 비롯해 후쿠시마 오염수 논란, 서울-양평 고속도로 종점 변경 의혹 등 여야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정쟁들이 끊임없이 나오면서 청년 현안을 논의하고 다룰 시간이 없었다.
또 청년 이슈 자체의 부재와 ‘청년 정치’에 대한 실망감이 만들어 낸 결과라는 평가도 있다.
박상병 인하대 정책대학원 교수는 쿠키뉴스에 “4년 전에는 조국 사태로 청년층의 박탈감이 컸던 상황에서 분노한 2030 세대의 표심을 얻으려는 정치권의 노력이 필요했지만, 지금은 특별한 청년 이슈가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또 지금의 ‘청년 정치’가 전혀 청년답지 못하다는 점에서 청년 이야기를 하는 것도 정치권 입장에서는 어색하게 느끼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다만 총선이 다가올수록 각 정당의 청년층을 향한 구애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오는 25일 청년 공천에 대한 토론회를 시작으로 청년 정치의 역할 재정립을 위한 행보를 전개한다. 또 국민의힘은 현재 가동 중인 청년 조직인 ‘청년정책네트워크(청정넷)’을 통해 총선용 청년 정책을 발표할 방침이다.
황인성 기자 his1104@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