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국가고시와 관련해 기초의학 평가가 필요하다는 것에는 동의가 있었지만, 도입방법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렸다.
25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기초의학 의사국가시험 도입 무엇이 쟁점인가'를 주제로 한 토론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오세옥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는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과 의학연구의 선진화, 의료산업 발전의 기여를 위해 기초의학을 의사국가고시로 도입해야 한다”며 “합격 여부만 판단하고 응시횟수에 제한을 두지 않고 의사면허 취득에 필요한 필수요건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덕주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는 “진료역량뿐만 아니라 의사로서 갖춰야 할 의과학 역량 등 다양한 역량도 함께 평가해 우수한 의사를 배출해야 한다”며 "기초의학 지식과 과학적 사고 수준의 적절한 검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다만 평가방법과 도입 여부에 대해서는 쟁점이 있다며 “학생·교수·대학의 부담을 최소화해 목적을 달성할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신희영 서울대학교 교수는 “임상 의사 관점에서 10년 전부터 기초의학의 필요성에 대해 제기했다”며 “결핵에 대해 40년 전 개발된 약을 쓰고 있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기계적이고 반복적인 치료는 AI에 맡기면 더 잘하리라 본다. 사람은 같은 상황을 어떻게 개선할지 이야기해야 한다. 이러기 위해선 기초의학이 발전해야 한다”며 “테스트를 통해 머릿속에 남게 해야 한다”고 시험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학생대표로 나온 이동재 대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장은 “기초의학을 경시해 왔던 것은 사실이다”라며, “다만 국가시험에 기초의학 시험을 도입하자는 것 다른 논의다”라고 지적했다.
이 회장은 “현재 의사국가고시는 훌륭한 의사를 양성하자는 것이 아니라 의사로서 갖춰야 할 최소한의 역량만 보는 것에 불과하다”며 국가의사 시험의 보완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어 “국가고시 필기 시험료가 올해 28만7000원 실기를 포함하면 90만 7000원이다. 기초의학시험이 늘어나게 되면 그 비용은 누가 내나. 이러한 부분이 해결되지 않으면 의대생의 반발이 당연히 일어날 수밖에 없다”며 공부량뿐만 아니라 응시료에 대한 부담도 신경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지적에 대해 정부측은 잘 몰랐던 사실이지만 전문가집단이 알아서 해결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곽순헌 보건복지부 의료자원정책과장은 “이 논의에 대해 정부 측에서 많이 몰랐던 건 사실”이라며, “전문가 집단이 알아서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다. 의료계의 입장이 하나로 모이지 않아 반대의 목소리를 누그러뜨릴 수 있는데 지금은 어렵다”고 말했다.
허영범 고려대학교 교수는 “전국 의과대학 내 기초의학종합평가 합격을 졸업 필수요건으로 의무화하자는 것에 대해 논의는 없었지만, 실행위원 간에 검토는 진행했었다”며 “국시원에서 내규를 기초의학종합평가 합격자로 시험조건을 변경한다면 의과대학협의회에서 보다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플로어에서의 불만도 나왔다. 김인규 서울대학교 교수는 “집단 내 첨예하게 의견이 갈리는 것에 대해 정부가 나서지 않는다면 우리가 하겠다. 왜 국가에서 관리하느냐 상식적인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권한을 가지면 책임을 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박선영 학생은 “기초의학종합평가에 대비할 시간이 너무 짧아 기초과목에 대한 원리나 지식을 탐구하기에 시간이 부족하다”며 “원리 중심 학습보다 답만 외워서 공부해 시험에 대한 부담감만 커지고 심도 있는 기초의학 공부는 퇴색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좌장을 맡은 전용성 서울대학교 교수는 “우수한 의사를 만드는 게 의료계만의 문제가 아니다. 기초의학 시험에 대해 일반인의 의견도 물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토론회를 주최한 박인숙 의원은 “기초의학 의학국가고시와 관련해 이야기가 처음 나왔다. 여기까지 온 것만 해도 큰 발전이다”라며, “법 개정에는 시간이 오래 걸리니 우선 시행령부터 고치는 등 개선에 나서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노상우 기자 nswrea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