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자산운용 ‘삼성 미국그로스(Growth) 펀드’ 출시
삼성자산운용은 미국 성장주에 투자하는 ‘삼성 미국그로스 펀드’를 출시하고 SC제일은행, 현대차증권 등에서 판매한다고 17일 밝혔다. 이 펀드는 미국 티로프라이스 자산운용사의 ‘미국 대형성장주 펀드(US Large Cap Growth Equity Fund)’에 투자하는 재간접 상품이다.
성장주는 현재 성장률이 높은 기업의 주식으로 신제품을 출시하는 등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성장이 기대되는 주식을 말한다. IT와 헬스케어가 대표적인 성장업종이다. 꾸준한 기술개발과 4차산업의 도약 등으로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아마존,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유나이티드 헬스케어 등이 해당된다.
장기간 성과를 보면 성장주의 연평균 수익률이 주식시장을 월등히 앞선다. 2012년 7월부터 2019년 6월말까지 약 7년간 S&P500 지수 연평균 수익률은 17%인 반면, 페이스북과 아마존은 각각 108%와 74%를 기록했다.
성장주 펀드는 종목 선정이 성과의 핵심이다. 미국 기업 평균 수명이 1930년대 90년에서, 1980년대 25년, 2011년에는 18년으로 지속적으로 짧아지고 있기 때문에 종목 선정은 더욱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펀드 운용사인 티로프라이스는 종목 선정이 탁월한 것으로 평가 받는다. 철저한 리서치로 경쟁력 있는 60~75개 종목에 집중 투자해 우수한 성과를 낸다. 지난 5년간 S&P500 수익률은 50.1%, 티로프라이스 대형성장주 펀드는 98.4%로 미국 대표지수 보다 월등히 높다.
지난 1937년 설립된 티로프라이스는 주식, 채권, 멀티에셋 등을 운용하는 종합운용사로 관리자산 약 1230조원이다. 16개국에 현지사무소가 있으며 약600명 애널리스트와 투자전문가가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포트폴리오를 관리한다. 성장주에 대한 오랜 투자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성장주 운용팀은 평균 20년의 투자경험이 있는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다.
삼성자산운용 관계자는 “금융위기 이후 미국 기업은 혁신을 통해 뛰어난 이익성장률을 실현하며 주가를 견인하고 있다”며 “주가가 많이 오르긴 했지만 혁신적인 기술개발, 기업이익 성장, 금리인하 기대 등 여전히 미국 주식시장에 투자기회가 있다”고 설명했다.
NH-Amundi(아문디)자산운용 ‘하나로 단기채 펀드’ 기업은행서 판매
NH-Amundi자산운용은 우량 단기채권에 주로 투자하는 ‘하나로 단기채 펀드’를 7월 12일부터 IBK기업은행에서도 판매개시 했다고 밝혔다
이 펀드는 우량 회사채, 전자단기사채(전단채), 기업 어음(CP)에 주로 투자하여 안정적인 이자수익을 목표로 하는 상품으로, 유동성, 안정성, 수익성의 3박자를 추구하는 펀드다. 또한, 전 클래스에 걸쳐 환매 수수료가 없기 때문에 수시입출금이 가능한 펀드이다.
이 펀드는 채권투자 만기를 6개월 내외로 타이트하게 관리해 금리 변동에 따른 투자 위험은 줄이면서 머니마켓펀드(MMF)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목표로 운용되며,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겸비한 상품으로 평가받으며 시중 부동자금을 끌어들였다.
2018년 9월에 출시된 ‘NH-Amundi 하나로 단기채 펀드’ 는 변동성이 커진 주식시장에서 안전자산을 선호하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각광받으며 출시한지 한 달여 만에 설정액 1,000억원을 돌파하였으며, 출시 약 8개월 만에 3000억원에 달했다. 지난 2019년 7월 12일 기준 이 펀드의 설정액은 약 4300억원 이다.
시중은행의 수시입출금식 예금(MMDA) 금리는 연 0.05~0.3% (예금액 1,000만원 기준), 3개월짜리 정기예금 금리는 연 1.2~1.7% 수준이다. 머니마켓펀드(MMF) 는 입출금이 자유롭지만 수익률은 대략 연 1.2~1.5% 수준에 불과하다. 따라서, 불안정한 시장상황에 정기예금으로 자금을 묶어두고 싶지 않고, 안정적인 이자수익을 희망하는 고객들에게 ‘NH-Amundi 하나로 단기채 펀드’ 는 매력적이다.
한수일 NH-Amundi자산운용 채권운용부문총괄 CIO는 “글로벌 경기는 둔화 사이클에 진입하였고 미중 무역갈등 심화로 인해 주식 등 위험자산 가격이 큰 폭 하락하면서 채권금리도 50년물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 밑으로 크게 하락했다”며 “채권투자에 유리한 상황이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라고 밝혔다.
유수환 기자 shwan9@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