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5일까지 지속되는 ‘사회적 거리 두기’… ”당분간 계속해야“

내달 5일까지 지속되는 ‘사회적 거리 두기’… ”당분간 계속해야“

기사승인 2020-03-27 09:46:04

[쿠키뉴스] 노상우 기자 = 정부가 보름간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 두기’를 추진한 가운데 해당 기간이 끝나는 내달 5일 이후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는 상황이다.

27일 전문가들은 코로나19 확진자가 하루 100명 내외로 지속 발생하는 상황에 집회·모임 자제 등 방역체계를 유지할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정부도 ‘사회적 거리 두기’가 끝나는 5일 이후 완전히 일상으로 복귀하기는 힘들다고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출퇴근이나 종교활동·취미 생활 등 일상에서 지켜야 하는 지침을 마련한다는 방침을 세울 예정이다.

의료계는 정부가 촉구한 ‘사회적 거리 두기’ 기간이 끝나도 한동안은 유지해야 한다고 말한다. 코로나19는 감염 초기부터 전파력을 갖는데 지역사회에 감염자가 있다면 사회적 거리 두기를 하지 않으면서 방역활동을 하는 건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특히 ‘무증상’ 감염자가 지역사회에 있다면 진단검사로 증상이 나타난 환자들을 찾아내는 방식으로는 감염 확산을 막는 데 한계가 있다. 정부가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시행한 이유 역시 지역사회에 숨어있는 감염자들이 ‘2차 전파’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지역사회 감염 불씨를 잡겠다는 것이다.

전국 곳곳에서 여전히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확진자가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종교시설·요양기관 등을 중심으로 한 집단감염 위험도 여전하다. 이외에 해외에서 유입된 확진자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검역뿐 아니라 지역사회에서도 발견돼 검역만으로 해외 유입을 모두 차단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천병철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현 상황에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느슨해지면 재유행 위험이 크다“며 ”날씨가 따뜻해지고 습도가 올라가면 지역사회 감염률이 떨어질 테니 그때까지는 당분간 사회적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도 안정적인 상황으로 볼 수 있는 상황이 언제라고 확답하지 못하고 있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26일 정례브리핑에서 ”확진자를 어느 정도까지 줄여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하긴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코로나19가 장기전으로 가면서 사회적 거리두기와 일상생활 복귀의 ‘합의점’을 찾고 있다. 학업중단·경기침체 등 사회·경제적 타격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4월 6일 이후에는 ‘지속가능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홍보관리반장은 ”경제활동과 일상생활을 어느 정도 보장하면서 방역 조치를 최대한 할 수 있는 사회구조를 만들려고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지침에는 학교·직장·식당·대중교통 등 일상 영역에서 방역을 위해 지켜야 할 구체적인 ‘생활 방역’ 내용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개학 이후 학교 내 생활방역이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될 것으로 전망된다. 교육부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학생들은 학교에 있는 동안 수업에 따른 교실 이동·화장실 이용·급식 등 최소한의 움직임을 제외하고는 이동을 자제해야 한다. 교사들은 ▲학생 건강 상태 상시 관찰 ▲교실 등 창문 수시 개방 자연 환기 ▲화장실·세면대 손 세척제·종이 타월 비치 등을 해야 한다. 23일 개학을 시행한 싱가포르 사례를 본받자는 이야기도 흘러나온다. 싱가포르는 학생들이 교실 내에서도 떨어져 앉되 주기적으로 손을 씻고 자신들의 얼굴을 만지지 않도록 주의를 시키고 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식당 내에서 마스크를 쓰고 식사를 할 수는 없으니 식당 내 식탁 간 거리를 넓히고, 같은 식탁에 앉더라도 마주 보거나 옆에 앉지 않고 대각선으로 앉는 방안 등을 생각할 수 있다. PC방 등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이용할 수 있게 하고 수칙은 준수해 입장할 수 있게 해야 한다. 교회 등 종교시설에서는 식사를 자제하고 경건한 분위기에서 예배를 드리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nswreal@kukinews.com

노상우 기자
nswreal@kukinews.com
노상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