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단체들이 여·야·환·의·정 협의체 구성을 제안하고 나섰다. 의료공백 사태의 가장 큰 피해자인 환자들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선 협의체에 환자 몫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김성주 한국중증질환연합회 대표는 12일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여야의정 협의체’ 대신 ‘여야환의정 협의체’ 구성을 정식으로 제안한다”며 “환자가 빠진 그 어떤 협의체 구성도 지지할 수 없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정치권에서 시작된 사회적 대화 논의가 첫발부터 크게 잘못됐다”며 “정치권이 여야의정 협의체를 만든다면서 전공의를 포함한 의료계의 의견만 구하고, 환자단체의 의견을 묻지 않는 것에 실망하고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질타했다.
야당을 중심으로 내년도 의대 증원 백지화를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가운데 의료계 요구만 수용하고, 환자 목소리는 경청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김 대표는 “일부 의료계가 2025학년도 의대 정원까지 원점 재검토하라고 주장하는 것도 기가 막히지만, 정치권 일부가 저희(환자들) 의견을 묻지 않고 의료계의 일방적인 요구를 수용하려는 듯한 모습을 보이는 것 역시 여야를 불문하고 용납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의사들에게만 마이크를 쥐어주지 말고, 환자들에게도 의료시스템에 어떤 변화를 바라는지 물어봐달라”고 강조했다.
다른 환자단체들도 여야의정 협의체에 환자단체의 몫이 포함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정승표 한국식도암환우회 대표는 “현실적으로 관망밖에 할 수 없는 환자와 가족 그리고 국민들은 최종적인 희생을 감수해야 하는 것이 지금의 의료 상황”이라며 “정치권이 제안한 의료 현안 협의체에 우리 환자들도 함께하고자 요구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백민환 한국다발골수종 회장도 “협의체에 환자단체가 참여하지 않는다면 환자의 실제 요구와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 의료 정책의 실효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며 “환자단체가 여야의정 협의체에 참여해 지속적으로 소통한다면, 환자단체의 신뢰를 얻고, 정책 시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신속히 해결하는 시스템을 갖출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