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전유공자 선정 기준인 ‘6·25 전쟁’은 99만여명이 사망·부상·행방불명된 한반도 역사상 가장 큰 비극으로 꼽힌다. 그러나 2025년 기준 참전유공자 명예수당은 고작 45만원에 불과하다.
25일 국가보훈부 ‘참전유공자 대상요건’을 살펴보면 전쟁이 발발한 1950년 6월 25일부터 정전협정을 한 1953년 7월 27일까지 각종 전투에 참여한 육·해·공군과 해병대, 경찰을 참전유공자로 선발한다.
참전유공자는 65세가 넘으면 참전명예수당으로 매월 45만원을 받는다. 하지만 이 비용은 올해 1인 가구 최저생계비인 143여만원에도 미치지 못한다. 또 보훈급여금이 소득인정액에 포함돼 급여액이 줄어드는 등 실질적인 복지 혜택이 감소하는 상황이다.
참전유공자들 대다수가 고령으로 신체·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가보훈부가 발표한 ‘2021년 국가보훈대상자 생활실태조사’에 따르면 참전유공자 실소득 기준 빈곤율은 36.7%다. 다른 보훈대상자 빈곤율은 10%에서 20%대 초반 수준이다.
김소희 국민의힘 의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참전유공자 예우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참전유공자예우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세부내용을 살펴보면 제6조 7항의 지급액을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최저생계비 이상으로 규정했다. 또 신설된 8항에는 참전명예수당 금액은 소득인정액 산정 시 제외하게 했다.
김 의원은 전날 쿠키뉴스와 통화에서 “2021년 기준 참전유공자 실소득 기준 빈곤율이 36.7%에 달한다. 이는 다른 보훈대상자보다 높은 수준”이라며 “현행 기초생활 보장제도는 다른 보장금액을 제외하고 지원하는 중”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보훈급여금이 이전소득으로 소득인정액에 포함돼 금액이 줄어들어 실질적 복지 혜택이 감소하고 있다”며 “참전명예수당 전부를 소득 산정 시 제외해 참전유공자 예우를 강화하고, 생활안정을 위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