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 현장 붕괴 사고로 50대 근로자가 매몰된 지 48시간을 넘긴 가운데, 추가 붕괴 우려로 중단됐던 수색 작업이 하루 만에 재개됐다.
13일 소방당국에 따르면 임광식 광명소방서 소방행정과장은 이날 오후 2시10분부터 실종자 수색 작업을 재개했다고 밝혔다.
임 과장은 브리핑을 통해 “전날 내린 강우의 영향으로 토사 붕괴의 우려가 있어 구조 작업이 중단됐으나, 토목·지질 전문가가 참여한 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작업 재개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그는 “공사장 주변 안전펜스 제거를 시작으로 상부에 붕괴할 위험이 있는 낙하물에 대한 고정 작업을 할 것”이라며 “실종자 및 그의 가족들을 위해 신속히 구조할 수 있도록 유관기관과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다만 사고현장에 위험요소가 워낙 많아 붕괴한 지하터널 하부로의 진입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임 과장은 “현장 자체가 위험요소로 가득 차서 (하부로 진입하는) 구조 작업이 어렵다”며 “(진입을 위해) 주변 위험물을 제거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번 사고는 지난 11일 오후 3시10분쯤 경기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제5-2공구에서 포스코이앤씨가 시공 중인 지하터널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가 무너지면서 발생했다.
이로 인해 근로자 19명 중 2명이 각각 고립되거나 실종됐다. 사고 13시간여만에 굴착기 기사 20대 A씨가 구조됐다. 마지막 실종자인 50대 B씨는 현재까지 정확한 위치와 생존 여부 등이 확인되지 않는 상황이다.
소방당국은 실종자 수색에 나섰으나, 전날 오후 3시쯤 추가 붕괴 위험이 있다고 보고 하부 공간을 수색하던 구조대원들을 철수하도록 했다. 이어 오후 8시쯤 크레인을 이용한 잔해물 정리 작업 역시 중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