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오세훈 서울시장의 교육·복지 정책을 대선 공약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김 전 장관은 오 시장과 과거 지자체장으로 함께 일한 점을 강조하며 차별화를 시도했다.
김 전 장관은 16일 서울시청 조찬을 마친 후 “서울시의 훌륭한 정책을 배울 좋은 기회가 됐다. 이를 대선공약에 반영하고, 앞서 가는 지방자치의 좋은 면을 전국으로 확산시킬 것”이라며 “지방자치의 발전을 위해 중앙 규제는 과감히 철폐해야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오 시장이 훌륭한 정책으로 서울시민의 행복을 더 높였다”며 “당선이 된다면 이를 잘 시행하겠다는 약속을 드린다”고 전했다.
김 전 장관은 서울시의 정책 중 ‘디딤돌 소득’과 ‘서울런’이 좋은 정책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서울시가 서울런을 통해 저소득층 자녀에게 메가스터디 인터넷 강의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며 “약자동행 지수를 개발하고 미리내 정책으로 출생률을 제고했다”고 말했다.
이어 “기초생활수급자들이 일을 하면 수급을 못 받는다. 그러나 서울시는 일하더라도 기본적인 디딤돌 소득을 보장한다”며 “이는 근로의욕을 높이게 돼 정부도 예산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고 했다.
김 전 장관은 조찬 브리핑 이후 ‘서울시 정책 대선공약 반영’ 시기에 관해 “이 정책은 즉시 받아들여서 시행할 것이다. 평소에도 관심이 많았던 내용”이라며 “서울런 교육정책과 미리내 출생률 정책도 획기적인 효과가 있다”고 답했다.
그는 ‘같은 정책을 시행하면 차별성이 있냐’는 물음에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얼마나 관심을 가지는지 모르겠다”며 “서울시에서 3년간 실시해서 성과가 나온 만큼 안심하고 전국 확대가 가능하다. 예산도 기존 플랫폼을 확대하면 연간 13~15조정도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이어 “과거 오 시장이 서울시장 시절 저는 경기지사로 같이 GTX 등을 마련했다. 서울과 경기도는 사실상 하나”라며 “평소 관심이 있는 내용으로 자료를 더 받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국민의힘 예비후보가 오 시장을 많이 찾은 배경’에 대해 “저는 상당기간 같이 행정을 하면서 정책적인 공유를 했다. 이를 공감하는 영역이 다른 후보와 다를 것”이라며 “다른 후보들이 오 시장과 어떻게 할지는 논의할만한 내용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