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 신안군에 단일 단지 기준 아시아·태평양 최대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단지가 들어선다. 지방자치단체 주도로 주민·어업인 등이 참여한 민관협의회를 통해 주민수용성을 확보, 사업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신재생에너지정책심의회 심의·의결을 거쳐 ‘전남 신안 해상풍력 발전사업’을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27조제2호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로 지정·공고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전남도는 오는 2033년까지 신안군 해역에 10개 단지 총 3.2GW(기가와트) 규모의 해상풍력 집적화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앞서 2월 전북도가 부안군과 고창군 일대에 원전 1기 규모(1.4GW)의 해상풍력 단지를 짓는다고 밝혔는데, 신안 해상풍력단지는 이보다 1.8GW 이상 용량이 큰 셈이다.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는 지자체(실시기관) 주도로 입지를 발굴하고 지역주민, 어업인, 지자체 등이 참여하는 민관협의회를 통해 주민수용성을 확보해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추진하는 구역으로, 정부는 한국전력에 공동접속설비 구축을 요청할 수 있고, 발전단지 준공 후 최대 0.1의 REC가중치를 지자체에 부여할 수 있다.
공동접속설비란 여러 해상풍력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하나의 지점에서 모아 육지로 송전하는 설비로, 개별 발전소마다 별도의 송전선을 설치하는 것보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전남도는 앞서 2021년부터 정부 지원 사업을 통해 기존 개별 사업자들이 진행하던 풍력단지에 대한 인허가 저촉 여부 등을 조사, 사업 구역을 재배치했다. 또한 주민·어민 대표가 포함된 민관협의회를 구성해 주민 수용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전남도는 송전선로가 지나갈 것으로 예정되는 지역의 주민 대표를 민관협의회에 참여시키고 전력계통협의체, 주민설명회 등을 추진해 공동접속설비 구축을 지원할 예정”이라며 “해상풍력 기자재 산업 및 연관 기업 육성 등이 포함된 전략을 수립·이행해 국내 해상풍력 공급망 활성화에도 기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남도는 송전선로 경과지 주민을 포함한 전력계통협의체를 구성해 송·변전설비 구축에 나설 계획이다. 나아가 목포신항을 포함한 인근 지역에 해상풍력 기자재 산업클러스터를 조성해 조선업 등 연관 산업 생태계 구축에도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날 산업부 발표 이후 김영록 전남지사는 발표문을 통해 “집적화단지 사업이 해상 풍력 발전의 획기적인 전기가 될 것”이라며 “3만여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연관 산업을 육성해 전남이 명실상부한 해상 풍력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전력투구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