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문수·한동훈 국민의힘 예비후보가 3차 경선에 진출하면서 최종 1인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두 예비후보는 대선후보를 목표로 각자 통합이라는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열세인 대선을 뒤집기 위해 ‘당 단합’이 필요하지만, 시작부터 ‘정계은퇴’ 선언이 나왔다.
29일 국민의힘은 ‘2차 경선’ 결과 발표에서 김문수·한동훈 예비후보가 통과했다고 밝혔다. 결과 발표에 앞서 당 지도부는 어떤 결과에도 남은 후보를 위해 힘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우리가 하나 될 때 이기고 분열하면 진다”며 “경선이 치열해도 후보가 결정되면 하나로 뭉쳐야 한다”고 소리 높였다. 권성동 원내대표도 “(예비후보들이) 2차 경선에서 이재명 세력의 국가권력장악에 맞서기 위해 모든 세력의 통합 필요성을 말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결과발표 직후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정계은퇴’와 ‘탈당’을 선언하면서 ‘분열’이 발생했다. 홍 전 시장은 “시민으로 돌아가 자연인으로 편하게 살겠다. 이번 대선 저의 역할은 여기까지”라며 “당에서 내 역할이 없고, 정계에 머물 명분도 없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예비후보들은 홍 전 시장의 ‘폭탄발언’에 달래기에 돌입했다. 김 예비후보는 “국회의원 시절 같은 상임위원회(상임위)를 해왔다. 저와 함께 가지 못한 것이 매우 안타깝다”며 “홍 전 시장이 이루고자 하는 꿈을 잘 담아 남은 여정을 이어가겠다”고 예고했다.
한 예비후보도 “홍 전 시장은 매력 있고, 젊은 나보다 기백이 있다. 30여년간 많은 공헌을 대한민국과 보수에 해왔다는 점에 존경의 말을 건넨다”며 “안 의원의 통찰력과 열린 마음에 놀랐다. 김 예비후보와 남은 경선에서 경쟁자가 아닌 동반자로 이 후보와 싸워 이기는 한팀이 되겠다”고 예고했다.
보수 진영에서 ‘분열’을 경계하는 이유는 ‘집토끼 리스크’ 때문이다. 현재 중도보수와 강성지지층 간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지지층 통합을 해내지 못하면 본선 승리는 어렵다. 김 예비후보는 중도보수의 마음을 이끌어내야 하고, 한 예비후보는 강성지지층의 지지를 끌어내야 한다.
정치권에서는 최종후보가 되기 위해 감정적 경쟁을 절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이날 쿠키뉴스와 통화에서 “1대1 국면에서 서로 감정싸움을 벌이면 절대로 통합할 수 없다. 도움이 되는 경쟁을 해야 한다”며 “필요 이상으로 첨예하게 대립하면 앙금이 남아 뭉칠 수 없게 된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도 남은 후보들이 낙선캠프를 중용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최요한 시사평론가는 이날 쿠키뉴스와 통화에서 “두 예비후보는 안 의원과 홍 전 시장 등을 찾아 도와달라는 메시지를 전해야 한다”며 “마지막 3차 경선은 조금이라도 통합에 가까워진 쪽이 승리하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자신과 반대성향인 인물들을 찾아 캠프에 중용하는 것은 상당히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며 “지지 여부를 떠나 무조건 손을 내밀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긴다고 해도 본선에서 힘을 쓸 수 없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