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허은아 대선 캠프, 사문서 위조 논란

[단독] 허은아 대선 캠프, 사문서 위조 논란

기사승인 2025-05-12 18:04:51 업데이트 2025-05-12 18:15:13
허은아 전 개혁신당 대표(가운데)가 4월23일 오전 국회 정문 앞 탈당 기자회견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오른쪽은 조대원 선대위원장. 송금종 기자 

21대 대선 출마를 고사한 허은아 캠프 측이 사문서를 위조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무소속으로 출마하려면 추천인 서명을 일정 규모 이상 모아야 하는데, 캠프가 이를 임의로 작성했다는 것. 캠프 측은 이를 전면 부인했다. 

12일 쿠키뉴스는 불법 정황이 의심되는 메신저 대화기록과 통화녹취파일을 단독 입수했다. 취재를 종합하면 캠프는 메일을 이용해 이름·주소 등 3500명분의 인적사항을 수집했다. 인적사항 수집을 주도한 인물은 조대원 선거대책위원장(전 개혁신당 최고위원)이다. 

허은아 전 개혁신당 대표는 지난달 24일 탈당과 함께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다.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무소속 출마 시 검인해 교부된 추천장을 사용해, 하나의 시·도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선거권자 수를 700인 이상으로 한 3500명 이상 6000명 이하의 자필서명을 받아야 한다. 

캠프는 그러나 자필 대신 서명을 직접 가공한 것으로 보인다. 대화 내용을 보면 캠프 관계자 10명이 350장을 바꿔가며 작성하자고 모의한 정황이 있다. 선대위 회의에서도 ‘(중앙선관위가) 제대로 확인을 안 하니, 이름과 주소를 받아서 서명을 돌아가면서 대신 쓰자’라는 발언이 나온 것으로 드러났다. 

3500명을 실제 모았는지도 불분명하다. 캠프는 3500명 중 인천에서만 1000명을 모집했다고 공표했다. 남은 2500명을 지역 4곳에서 모으면 700명이 안 되는 지역이 적어도 한 곳은 반드시 나온다. 허 전 대표가 등록을 포기하면서 남긴 글엔 3800명을 모았다고 적었다. 이는 4곳에서 각 700인을 모았다는 의미인데, 카운트를 하면서 300명을 누락할 수 없으므로 애초에 허위일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허 전 대표는 대선 후보 등록 마감일인 전날(11일) 페이스북에 출마 포기를 선언했다. 포기를 선언한 당일 관련 의혹이 퍼지면서 ‘꼬리 자르기’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캠프 측은 의혹에 관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며 극구 부인했다.
사진=제보자

캠프 핵심 관계자는 쿠키뉴스에 “결국은 후보 결단의 문제”라며 “출마를 조언한 사람이 있고, 불출마를 조언한 사람도 있었는데 의견들을 두루 감안하고 여러 사정을 고려해 불출마를 후보가 선택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다만 거기에 추천인이나 돈 문제는 전혀 고려 대상이 아녔다”고 덧붙였다. 

허 전 대표도 “저 한 사람의 정치적 욕망만 생각했다면 전진했을 것”이라면서도 “함께 걸어온 사람들의 삶을 지켜야 했고, 정치는 사람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는 신념이 제 발걸음을 멈추게 했다”고 설명했다. 
사진=제보자

두 사람 발언을 뒷받침하는 증언은 있다. 캠프가 등록 마감일까지 찬성과 반대로 쪼개졌었다는 것. 

조 선대위원장은 전날(11일) 라이브 방송에 출연해 “캠프 내에서도 (허 전 대표가 후보를) 등록하고 나가야 한다는 쪽과, 그만큼 했으면 됐고 모든 자금과 조직을 소진시키면 향후 정치 행보에 어려우니 말리는 쪽도 있고 캠프에서 갑론을박이 많았다”고 밝혔다. 

이어 “선대위원장으로서 할 말은 다 했고 결정은 후보 본인이 할 것”이라며 “저도 돈과 이 정도 (규모의) 조직이 있으면 선거에 한 번 뛰어들고 싶었다”라고도 전했다. 

허은아 캠프는 오늘(12일) 해산했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
송금종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