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서 잇따른 학교폭력, 지역사회 ‘술렁’

목포서 잇따른 학교폭력, 지역사회 ‘술렁’

관내 중‧고등학교서 집단 괴롭힘…전남교육청 조사 착수‧대응책 고심

기사승인 2025-05-21 06:50:05
잇따른 학교폭력으로 전남 목포지역이 몸살을 앓고 있다.

전남교육청 등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목포의 한 중학교에서 학교폭력 신고가 접수됐다.

조사 결과 이 학교 3학년 학생 3명이 2학년 학생 7명을 상습적으로 괴롭혀온 것으로 드러났다.

피해 학생들은 가해 학생들이 지난 2월부터 신고 시점까지 수차례 폭행했으며, 숨을 쉬지 못하도록 해 의식을 잃게 하는 일명 ‘기절놀이’를 시켰다고 주장했다.

또 피해 학생 간 강제 ‘스파링’을 시키고, 금품을 빼앗았다고 주장했다.

현재 가해 학생 3명 중 2명은 등교가 제한된 곳에서 완전 격리된 상태고, 나머지 1명은 별도로 마련된 대안교실에서 수업 중이며, 피해 학생들은 모두 학교생활에 적응하고 있다.

목포지역 한 고등학교에서도 학교폭력이 발생했다.

전남교육청 등에 따르면 1학년생들이 동급생 1명을 상습적으로 폭행하는 등 학기 초부터 괴롭혀왔다. 지목된 학생은 모두 9명이지만 일부만 폭력에 직접 가담한 것으로 전해졌다.

피해 학생은 지난달 30일 오후, 담임교사에게 피해 사실을 알렸고, 담임교사는 피해 진술서를 써 오도록 했다. 5월 1, 2일이 재량휴업일로 지정된 탓에 피해 학생이 진술서를 연휴가 끝난 7일 제출하면서 조사가 본격화됐다.

그사이 3일, 가해 학생 중의 한 어머니가 아이의 휴대전화에서 폭행 동영상을 발견하고 담임교사에게 전달했다. 학교 측은 전달된 동영상과 피해 학생의 진술서를 토대로 조사를 진행 중이다.

피해 학생은 또 이들이 인스타그램을 통해 욕설 등 폭언을 일삼는 등의 피해도 주장하고 있다.

피해 학생은 병원 치료를 위해 학교에 나가지 못하는 상태며, 가해 학생들은 등교해 조사를 받고 있다.

목포해양대학교 기숙사에서도 지난달 한 학생이 3명의 룸메이트로부터 베란다에 감금당하고 조롱받는 등 집단 괴롭힘을 당했지만, 대학 측이 솜방망이 처벌로 마무리했다며, 재조사와 강력한 처벌을 요구하는 글이 대학 게시판에 올라와 논란이라는 내용이 보도되기도 했다.

한편 지난달 목포지역 중학교에서 발생한 학교폭력 사건과 관련, 목포시의회 박효상 의원의 아들이 가해학생에 포함된 가운데, 박 의원이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사과문이 또 다른 논란을 불러왔다.

박 의원은 지난 1일 페이스북에 ‘공식 사과문’을 올려 “아버지로서, 그리고 시민의 선택을 받은 공직자로서 참담한 심정과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피해 학생들과 가족들에게 사과했다.

또 피해 회복을 위해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해 나가고, 피해자 가족의 의사에 따라 협의 가능한 일을 열어놓고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박 의원의 ‘공식 사과문’에 무분별한 댓글이 달리면서 논란을 키웠다.

일부 지인 등이 ‘마음대로 안 되는게 자식문제다. 아이 때문에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다. 힘내라’는 취지의 응원 글을 여럿 달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댓글에 대해 다른 누리꾼들은 “수신제가치국평천하”, “자식은 부모의 거울”이라고 꼬집었고, 박 의원과 응원 댓글을 단 이들을 싸잡아 비판하는 글들이 이어졌다.

한 누리꾼은 “힘내기는 뭘 힘내요. 피해자 부모한테나 할 소리를... 아무리 자식이 부모 맘대로 안된다하지만, 여기 댓글에 가해자 부모에게 힘내라는 말은 아닌듯싶네요. 힘내지 마시고 많이 아파하시고 반성하십시오”라고 일갈했다.

2주가 넘도록 댓글 논란이 계속됐지만 해당 게시글을 그대로 뒀던 박 의원은 최근 삭제했다.

전남교육청은 지난 19일 오후 전남여성가족재단에서 ‘학교폭력제로 센터장 대책회의’를 열고 최근 발생한 학교폭력 사안과 관련, 피해 학생 보호 및 재발 방지 대책을 논의했다.

피해 학생의 일상 회복과 심리적 안정을 최우선으로, 전문 심리상담을 지원하고, 가해학생에 대해서도 학교폭력 사안 대응 매뉴얼에 따라 재발 방지를 위한 특별교육도 실시키로 했다.

이와 함께 학교폭력제로센터 중심의 긴급 대응팀을 현장에 투입해 객관적인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있으며, 무분별한 영상 유포와 신상 노출을 막기 위해 관계 기관과의 협조 체계도 강화할 방침이다.
신영삼 기자
news032@kukinews.com
신영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