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대 기업 여성임원 첫 8% 돌파했지만 ‘속빈강정’…사외이사 중심

500대 기업 여성임원 첫 8% 돌파했지만 ‘속빈강정’…사외이사 중심

기사승인 2025-07-08 06:53:52
쿠키뉴스 자료사진

국내 500대 기업의 여성 임원이 6년 만에 2배 이상 증가하면서 전체 임원 중 비중이 처음 8%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여성 임원의 상당수가 사외 이사 중심으로 증가하는 데 그쳤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리더스인덱스가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분기보고서를 제출한 376개사의 임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전체 임원 1만5016명 중 여성은 1210명으로 8.1%를 차지했다. 2019년의 505명(3.8%)에서 6년 만에 2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자본시장법 개정안 시행 이후 여성임원은 2023년 처음 1000명을 넘어선 후 매년 증가세가 어지고 있다. 2022년 8월 시행에 들어간 자본시장법 개정안은 자산총액 2조원 이상 상장사 이사회를 특정성별로만 구성하지 않도록 의무화했다.

다만 여성 임원 중 현장에서 실무를 맡아 조직을 이끄는 미등기 임원 비율은 올해 71.6%를 기록했다. 2019년 90.5%를 기록한 이후 계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대신 사외이사를 중심으로 한 등기임원이 빠르게 증가했다. 같은 기간 미등기 여성 임원은 457명에서 866명으로 늘어 증가율이 2배에 못 미쳤지만, 여성 사외이사는 38명에서 292명으로 7.6배 늘었다.

여성 사내이사 비율은 2019년 20.8%에서 2022년 12.7%로 떨어진 뒤 최근까지 15% 안팎에 머물고 있다. 나머지 절대다수는 여성 사외이사로, 이들 비중은 조사 기간 79.2%에서 84.9%로 높아졌다.

올해 500대 기업에서 여성 사내이사는 총 34명이다. 이들 중 40%인 14명이 오너 일가 및 친인척 출신으로, 3명을 제외한 11명은 모두 사장(대표이사) 이상 직급이다.

리더스인덱스는 "표면적으로는 성별 다양성이 확대됐지만 여성 임원의 상당수가 사외이사 중심으로 증가하는 데 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종별로는 생활용품(19.5%), 제약(19.0%), 서비스(13.2%), 식음료(13.1%) 등 소비재 업종에서 여성 임원 비중이 높았다.

반면 조선·기계·설비(3.3%), 에너지(3.6%), 건설·건자재(3.7%) 등은 여성 임원 비중이 5%에 미치지 못했다.
정혜선 기자
firstwoo@kukinews.com
정혜선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