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규제지역 주택담보대출 상한을 6억원으로 제한하는 규제 발표 이후 서울 아파트 최고가 거래 건수가 74%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14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서울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6‧27 부동산 대책 발표 후 2주간 최고가 거래량은 1141건에서 300건으로 7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규제 발표 전 2주 간(6월13일~26일) 이뤄진 4693건의 거래 중 1141건(24.3%)이 최고가 거래였다. 직방 측은 ‘지금 사지 않으면 더 오른다’는 불안심리가 마포, 성동, 강동 등으로 확산하며 최고가 거래가 집중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부의 규제 발표 후 2주 간(6월27일~7월10일) 거래량은 1312건, 최고가 거래량은 300건으로 줄었다. 최고가 거래량은 대책 발표 전 대비 74% 감소했고 최고가 거래 비중도 22.9%로 축소됐다.
대책 발표 전 2주간 최고가 거래량이 139건으로 가장 많았던 성동구는 규제 이후 22건으로 84% 줄었다. 마포구는 규제 이후 최고가 거래량이 18건으로 이전 대비 약 87% 감소했다.
강동구도 6월27일 이후 최고가 거래량이 23건으로 80%, 강남구는 41건으로 63% 각각 줄었다. 이밖에 동작구(85건→15건), 영등포구(82건→18건), 광진구(50건→16건), 강서구(34건→16건), 동대문구(30건→4건) 등도 최고가 거래량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직방 관계자는 “아직 거래량만으로 시장 흐름을 단정하기에는 이르지만 서울·수도권 주택시장의 전반적 분위기는 짙은 관망세에 접어든 모습”이라며 “강경한 정책 기조에 따라 대출 가능 여부에 따른 자금 계획 수립 등으로 혼란스러웠던 초기 국면은 다소 진정됐지만, 강도 높은 규제의 여파로 기존 매물의 호가가 일부 조정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으며 매수 문의 자체가 줄어들며 거래는 사실상 멈춰 선 상태”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다만, 규제 강도가 높아진 서울 강남권이나 정비사업 중심지에서의 수요가 상대적으로 덜 규제된 지역으로 일부 분산될 가능성도 있다”며 “자금 여력에 맞춰 비교적 낮은 가격대를 찾아 나서는 수요자들을 중심으로 서울 외곽의 비규제 지역이나 경기권 일부 지역이 일시적인 대체지로 주목받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