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파행은 북한이 지난 3월 27일 한·미 합동군사훈련인 ‘키 리졸브’에 반발해 서해지구 군 통신선을 일방적으로 단절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이어 북측은 4월 3일 우리 측의 ‘최고 존엄’ 모독을 이유로 일방적인 출경 차단 조치를 단행했다. 같은 달 8일 김양건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이 5만3000여명의 북측 근로자를 모두 철수시키겠다고 발표하며 공단 가동은 9년 만에 완전히 멎었다.
이에 류길재 통일부 장관은 같은 달 26일 직접 잔류인원 전원 귀환 성명을 발표하며 중대 조치를 실행에 옮겼다. 결국 5월 3일 북측과 근로자 임금 등 미수금 지급 문제로 협상을 벌이기 위해 남아있던 ‘최후의 7인’이 최종 철수하며 공단은 잠정 폐쇄 상태로 돌입했다.
이후 한 달 가량 양측의 책임 공방이 이뤄지며 사태가 장기화 국면에 돌입했지만 6월 6일 북한이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대변인 특별담화문을 통해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재개 및 이산가족 상봉 등을 포함한 포괄적인 당국간 회담을 개최하자고 제의하면서 사태는 전환점을 맞았다. 남북은 남북당국회담을 12~13일 서울에서 개최하는 것을 합의했다. 그러나 회담 수석대표의 ‘급(級)’ 문제로 북한이 회담 하루 전 날 이를 무산시켜 개성공단 사태는 다시 어둠에 빠졌다.
그러다 지난달 3일 북한이 개성공단 기업인 방북을 허용하겠다고 밝혔고, 우리 정부가 제안한 같은달 6일 1차 실무회담 개최가 성사되면서 다시 희망이 보였지만 같은 달 25일 6차 회담에서 북측 수석대표인 박철수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부국장이 우리 측 기자실에 난입하는 소동을 빚으며 사실상 회담이 결렬됐다. 이에 정부는 기업에 경협보험금을 지급하는 등 사실상 공단 폐쇄 수순에 들어갔다.
하지만 지난달 29일 류길재 통일부 장관이 ‘마지막 회담’을 제의했고, 9일 만인 지난 7일 북측 조평통이 이를 받아들임으로써 개성공단 회생의 길이 열렸다. 결국 7차 회담에서 남북은 서로 양보를 한 끝에 극적으로 개성공단을 소생시켰다.
개성=공동취재단,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