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경남지사는 도청 브리핑룸에서 “오랫동안 정성들여 작업한 것이 마침내 결실을 맺었다”고 말했다. 애초에 정부가 영남과 호남에 각각 1곳씩 혁신산단을 지정하려다가 결국 4곳을 선정하게 됐고 국가특화산업단지 5곳 가운데 경남에 무려 3곳이 지정됐다는 것이 홍지사의 설명이다.
홍 지사는 “정부도 선거를 앞두고 고민을 많이 했을 것”이라며 경남의 우주항공·첨단나노·해양플랜트 산단이나 항노화산업 클러스터 등은 우리나라를 끌고 갈 신성장 동력이어서 다른 지역을 제치고 창조경제 추진 차원에서 선정된 것이라는 의견도 곁들였다.
경남상공회의소 등 지역 경제단체들도 일제히 반기는 분위기 일색이었다. 경남상의 관계자는 “한반도 지도를 거꾸로 놓고 보면 우리 지역이 태평양으로 뻗어나가기 가장 좋은 곳에 자리잡고 있다”면서 “정부가 경남의 잠재성장력을 믿고 규제를 대폭 완화해준 만큼 새로운 도약의 디딤돌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울산시는 ‘친환경 전지 융합산업 육성’ 사업이 선정됨에 따라 차세대 청정에너지인 수소를 기반으로 울산이 수소산업의 중심지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은 국내 수소의 60% 이상을 생산하는 도시”라며 “이를 기반으로 수소연료 발전 설비를 실증화하고 그 과정에서 연구개발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구시도 ‘SW융합산업 클러스터 조성’이 특화발전 프로젝트에 반영되자 고무된 반응을 보였다. 대구시 관계자는 “현재 수성의료지구 내에서 진행 중인 SW융합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이 한층 더 탄력 받게 됐다”며 “향후 SW융합산업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기업 간 협업이 가능해질 전망이어서 지역 IT산업이 한 단계 더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일자리 양산형 서비스산업 허브 구축’을 제안받은 인천시는 “송도를 서비스 산업 특구로 만드는 계획에 대해 환영한다”면서 “국제공항과 항만을 낀 인천의 입지는 서비스 허브로 탁월하다”고 했다.
하지만 정부의 이번 발표에 대해 사업의 구체성, 실효성 등이 의문스럽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경남도 관계자는 “항공우주산업의 경우 초기 투자 자본이 거액인데다 세계적으로도 우리가 후발주자라 조심스러운 면이 없지 않다”면서 “중앙부처의 지원과 투자유치가 성공의 관건”이라고 말했다. 사천 우주항공 단지 등 일부 단지의 경우 투자유치가 계획대로 될지가 불투명해 정부의 발표에도 불구하고 전망이 장밋빛만은 아니라는 우려 때문이다.
충북도의 한 관계자는 “정부의 지역경제 활성화 대책이 다소 포괄적이고 구체성이 없다”며 “기업도시나 혁신도시에 대한 지원이 지자체별로 공평하게 이뤄질 것인지 궁금하다”고 지적했다.
창원=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영재 기자, 전국종합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