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분보는 소비자들..안전성 입증 나서는 뷰티업계

성분보는 소비자들..안전성 입증 나서는 뷰티업계

뷰티업계, 안전성 입증 경쟁...국가 공인 평가기관 설립 요구도

기사승인 2019-05-11 03:00:00

유해물질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면서 화장품을 고를 때에도 성분을 꼼꼼히 따지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화장품 전 성분을 확인하는 것은 물론, 자신에게 맞지 않거나 유해하다는 평가가 나온 성분은 철저히 제외한다. 화장품 성분을 공부하는 소비자들도 적지 않다. 최근 뷰티 업계에서는 이들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안전 효능평가 시험, 인체적용시험 등 안전성을 입증하는 다양한 시도가 나와 주목된다.

◇ 독일 ‘더마테스트’, 프랑스는 ‘에코서트’...안전성 차별화 경쟁

요즘 화장품에는 과거 유해성분으로 인식되던 파라벤, 페녹시에탄올, 피이지(PEG) 등을 찾아보기 어렵다. 성분에 대한 신뢰성으로 차별화를 꾀하는 것이 2019년 뷰티 업계의 화두이기 때문이다. 브랜드마다 해외의 안전성 인증 기준이나 자체 안전성 시험 등 다양한 안전 검증 기준을 내세운다.

최근 론칭한 뷰티브랜드 ‘스킨그래머’는 글로벌 화장품 편집숍인 ‘세포라’의 안전성 기준인 ‘클린앳 세포라’에 검증된 유효성분만으로 제품을 만들었다. ‘클린앳 세포라’에 선정되기 위해서는 타르, 포름알데히드 유발 성분, 황산염, 파라펜, 미네랄 오일 등의 성분들이 포함되지 않아야 하며 합성향의 함유율도 1% 미만이어야 한다.

연예인 유진이 기획한 ‘라이크아임파이브’ 또한 기획 단계부터 소비자들이 안심할 수 있는 성분만을 사용했다. 세계 시장을 겨냥한만큼 대한아토피협회 추천제품(KAA) 인증을 비롯, 까다로운 독일 더마테스트 최고 안전등급인 ‘엑설런트(Excellent)’를 획득한 것이 특징이다.

독일 더마테스트는 1978년 설립된 독일 최고의 피부 과학 연구소로 풍부한 임상 경험과 국제적인 공신력을 쌓아왔다. 동물이 아닌 사람을 대상으로 테스트를 진행해 실제 피부 반응이나 효과에 대한 공신력이 높다.

LG생활건강의 뷰티 브랜드 ‘비욘드’는 에코서트 인증화장품을 선보이고 있다. 에코서트는 프랑스의 유기농 인증기관으로 원료의 재배 과정부터 제조까지 전 과정에 걸쳐 엄격한 심사를 거친 제품에 인증서를 발행하고 있다.

에코서트 인증을 받은 비욘드의 ‘트루 에코 오가닉 오일’은 천연 유래원료 100%, 유기농 원료를 95% 이상 함유했으며, ‘트루 에코 크림’ 역시 천연 유래원료 및 유기농 원료를 기준치 이상 함유해 에코서트로부터 인증을 받았다.

두피·탈모 케어 브랜드 ‘자올 닥터스오더’가 출시한 ‘서플 엑스 스칼프 트리트먼트’는 10개의 인체적용시험과 효능평가시험을 통해 입증된 안전성을 내세운다. 특히 효능평가시험에서 모발뿌리볼륨, 모발 갈라짐, 두피 탄력, 두피 유분, 두피 보습 등이 개선된다는 평가를 받았다고 자랑했다. 

더마 브랜드 닥터오킴스의 '수크라테놀 리커버 크림'도 민감성 패널 테스트를 거쳐 예민한 피부 사용에 적합평가를 거쳤다. 또 이노덤 피부과학연구소 임상평가 결과 피부손상과 피부진정, 홍조 모두 100%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강조한다.

◇한국산 화장품 안전성 평가기관 설립 요구 솔솔

최근 뷰티업계에서는 한국 화장품의 국제적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가 차원에서 화장품 원료 안전성을 평가하자는 목소리가 나온다. 해외의 안전성 기준을 차용할 것이 아니라 이른바 ‘K- 뷰티’만의 안전성 기준을 만들자는 것이다. 공인된 안전성 평가가 K-뷰티 전반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미 유럽과 미국 등에서는EU 화장품 안전성 평가위원회(SCCS), 미국 화장품원료검토위원회(CIR) 등의 화장품의 안전성과 위해성 등을 평가하는 전문기관을 운영하면서 화장품 안전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화장품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지만 안전성평가를 전담하는 전문 조직은 없는 상황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를 중심으로 화장품에 사용하는 원료에 대한 모니터링체계는 구축돼 있지만 이를 검토하고 평가하는 전담 전문조직이 없어 위해평가 및 안전성 관리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 업계의 공통 인식이다.

장준기 대한화장품협회 상무는 최근 열린 국회 토론회에서 “공신력 있는 정부기관에서 과학적인 평가를 통해 그 결과를 소비자들에 알 불필요한 소모적 논쟁을 없애고, 소비자와 기업 모두가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하는 것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이를 위한 화장품 안전성 평가기관 설립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전미옥 기자 romeok@kukinews.com

전미옥 기자
romeok@kukinews.com
전미옥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