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현충일 추념사에서 항일 무장독립투쟁가 약산 김원봉(1989~1958)을 언급했다. 다만 야당 일각에서는 북한 정권에서 고위직을 지낸 사람을 언급한 것이 부적절했다고 질타했다.
문 대통령은 6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4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지난 1945년 일본이 항복하기까지 마지막 5년 임시정부는 중국 충칭에서 좌우합작을 이뤘고, 광복군을 창설했다”며 “광복군에는 무정부주의세력 한국청년전지공작대에 이어 약산 김원봉 선생이 이끌던 조선의용대가 편입돼 마침내 민족의 독립운동역량을 집결했다”고 밝혔다. 이어 “통합된 광복군 대원들의 불굴의 항쟁의지, 연합군과 함께 기른 군사적 역량은 광복 후 대한민국 국군창설의 뿌리가 되고, 나아가 한미동맹의 토대가 됐다”고 강조했다.
김원봉은 지난 1919년 의열단을 조직, 국내 일제 수탈기관 파괴와 일본 요인 암살 등 무장투쟁을 벌였다. 지난 1942년 광복군 부사령관을 지냈으며, 1944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무위원 및 군무부장도 역임했다.
광복이 찾아왔지만 남북은 둘로 나뉘었다. 김원봉은 지난 1948년 월북한 후 북한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이 됐다. 다만 북에서의 삶은 순탄하지 못했다. 북에서 최고위직을 지냈지만 지난 1958년 김일성의 연안파 제거 당시 숙청됐다.
자유한국당(한국당) 등 야권에서는 문 대통령의 ‘김원봉 언급’에 강하게 반발했다. 전희경 한국당 대변인은 “6·25 전쟁에서 세운 공훈으로 북한의 훈장까지 받고 북의 노동상까지 지낸 김원봉이 졸지에 국군 창설의 뿌리, 한미동맹 토대의 위치에 오르게 됐다”며 “6·25 전사자들을 뒤에 모셔두고 눈물로 세월을 견딘 가족들을 앞에 두고 북의 전쟁 공로자에 헌사를 보낸 대통령이 최소한의 상식의 선 안에 있는지 묻고 싶다”고 비판했다.
이만희 한국당 원내대변인도 “대통령이 김원봉을 콕 집어 언급한 데 대해 우려를 표하지 않을 수 없다”며 “대한민국에 맞선 사회주의 독립운동가들까지 서훈하기 위한 분위기 조성용 발언은 아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상욱 바른미래당 의원도 자신의 SNS에 “이제 보훈처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김원봉에게 독립유공자 서훈, 즉 대한민국의 ‘건국훈장’을 주려고 시도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