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항공우주전문가 포럼은 KAI가 주최하고 한국항공우주산학위원회(산학위)가 주관해 항공우주 기술과 산학협력 정책을 연구하는 포럼으로 산학연계를 통한 항공우주 발전에 대한 토론과 의견수렴을 위해 지난 2005년부터 매년 상·하반기 개최되고 있다.
이 포럼에는 항공우주공학 교수 및 업계 전문가 등 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4시 고해상도 정지궤도 관측위성 △전기/하이브리드 단거리이착륙 항공기 △항공소재‧부품 산업화 등 3가지 미래 먹거리 관련 주제에 대한 토론이 진행됐다.
KAI 강구영 사장은 "개발 성과와 수출 호재에 안주하지 않고 미래 변화와 관련된 기술에 집중 투자해 자체 경쟁력을 한층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 6세대 전투기, 수송기, AAV(미래형 항공기체), 차세대 고기동헬기, 초소형위성 등의 대형 연구개발을 중심으로 미래 먹거리를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방효충 KAIST 교수는 '24시간 상시관측을 위한 고해상도 정지궤도 관측위성 기술 동향 및 전략'을 주제 발표했다.
방 교수는 "국내 관측위성 대부분이 저궤도 관측위성으로서 상시 관측에 한계가 있다"며 "지구 저궤도 위성시스템 기술 확대와 탑재 소프트웨어 확보 및 고효율 추진시스템, 정지궤도 진입 기술 등 상시 감시가 가능한 고해상도 대형 위성의 수요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신상준 서울대 교수가 '전기/하이브리드 추진 단거리이착륙 항공기 기술 현황' 경상대 김상식 교수가 '항공용 소재‧부품 산업화를 위한 제언'에 대해 발표했다.
신 교수는 낮은 "에너지 효율과 짧은 항속거리 등 eVTOL의 기술적 과제가 있어 항속거리와 탑승인원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종 도입에 대한 논의가 대두되고 있다"며 "이착륙은 전기로 추진하고 순항 시에는 하이브리드로 추진해 탄소 배출을 줄이고 항속거리를 늘리는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항공 소재와 부품의 높은 해외 의존도는 신규 항공기 수요 증가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 대외 환경변화에 따라 가격과 납기 변동이 심하므로 국산화를 통한 공급망 다각화로 해결해야 한다"며 "항공소재 개발 협력체를 구성해 정부 R&D사업으로 확대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사천=강연만 기자 kk77@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