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원 새누리당 의원은 7일 2000년 계획 수립 당시 보건복지부는 천연물신약 연구개발사업이 최소의 투자로 최대의 성과를 얻을 수 있는 사업이라며 1개의 신약 개발 시 세계적으로 연간 1조원~2조원의 매출과 매출의 20~50% 수준의 순이익 창출이 가능하다는 장밋빛 목표를 제시했지만 지난 14년 동안 천연물신약 해외수출실적은 2012년에 필리핀, 몽고 및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스티렌정 1억500만원을 수출한 게 전부라고 밝혔다.
정부는 천연물신약연구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2001년부터 2010년까지 4105억원, 2011년부터 2015년까지 3590억원 등 총 7695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계획했지만 2010년까지 집행한 금액은 1762억원으로 당초 계획 4105억원 대비 43%만 집행했고, 2011년 이후 7개 부처가 집행한 금액이 얼마인지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김 의원은 설명했다.
또 김 의원은 심평원이 제출한 자료를 인용해 8개 천연물신약이 14년간 수출액이 1억원에 불과한데 반해 천연물신약에 대한 건강보험 지급액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며 2009년 1066억원, 2011년 1235억원, 2013년 1674억원, 2014년 6월말 현재 849억원으로, 최근 5년 6개월간 건강보험 지급액이 매년 증가했고 2009년 이후 총 7616억이나 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보건복지부도 천연물신약의 개발이 부실했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며 보건복지부의 의뢰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2011년에 작성한 ‘제3차 천연물신약연구개발촉진계획 수립 용역 보고서’에서도 천연물신약 개발사업이 신약 기획단계에서 비효율적인 개발계획으로 제품개발에 대한 개념이 미흡했고, 해외 진출 대상 국가에 적합한 질환영역 선정과 이해가 부족, 막연한 기대감으로 시장 진입 한계, 추출 정도의 단순가공으로 의약품을 만든다는 인식이 팽배해 공정개발의 중요성을 간과했다고 평가했다고 소개했다.
이와 함께 김 의원은 천연물 신약은 임상시험 단계를 생략하거나 완화해 안전성과 유효성을 제대로 검증받지 못해 국내에서만 신약 허가가 났고, 국제적 기준으로는 신약으로 허가가 날 수 없는 상태라면서 실제로 국내용 천연물신약 8종은 모두 아직까지 유럽이나 미국에서 신약허가를 받지 못했고 국내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을 제대로 입증하지 못한 약을 선진국에서 허가받기가 어려운 것은 당연하다고 설명했다.
이영수 기자 ju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