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거부 운동이 퇴치수준 감염병 재유행 시켜

백신 거부 운동이 퇴치수준 감염병 재유행 시켜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홍역’이 대표사례…국내 백신 개발도 시급

기사승인 2019-02-20 00:11:00

국내에서 퇴치수준에 있던 ‘홍역’이 유행하며 일각에서 벌어지는 백신 거부 운동 등으로 퇴치수준의 감염병이 다시 유행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전 세계적으로 홍역 환자가 급증한 것과 관련해 백신 접종을 기피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것을 원인으로 지적했다. 이에 WHO는 올해 건강을 위협하는 10대 요인의 하나로 ‘백신 거부’를 꼽았다. 

백신 거부 현상은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홍역을 예방하는 MMR의 경우 자폐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논문이 발표되며 접종률이 떨어지기도 했다. 우리나라도 백신이나 항생제 사용을 피하고, 자연적으로 생기는 면역력으로 건강을 지키자는 내용의 약을 안쓰고 아이 키우기가 논란이 된 바 있다. 

백신접종을 기피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는 이유는 ‘부작용’과 '효과' 때문인데,  백신접종이 보건정책으로서 효과가 있다는 점은 환자 발생이 줄었다는 통계로 확인되고 있다.

무엇보다 이러한 백신접종의 기피가 개인 건강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집단건강 문제로 확대될 수 있어 공중보건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논란은 여전하다. 특히 천연두, 소아마비, 파상풍, 홍역, 간염 등 자신과 타인의 건강에 큰 영향을 주는 질환의 백신은 더욱 중요하다. 

‘2014~2017년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결과’(주간 건강과 질병 제12권 제7호,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관리센터 예방접종관리과 김정희·유정희·김유미) 연구에 따르면, 백신 거부운동과 백신수입 문제가 높은 예방접종률 유지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지목됐다. 

연구자들은 우리나라의 경우 만12세 이하의 어린이가 접종하여야 하는 예방접종의 90% 정도를 국가가 무료로 지원하고 있어 높은 접종률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공공의료기관 외 민간의료기관까지 무료지원을 확대해 예방접종률이 95%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우리나라에서도 퍼지고 있는 백신 거부 운동과 백신 수입 등의 문제는 높은 예방접종률 유지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는 지목됐다. 

우선 백신 거부 운동으로 국내 접종률이 떨어질 경우 퇴치수준의 감염병들이 다시 유행할 수 있고, 해외 유입 감염병 등에 대한 관리가 어려워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예방접종 현황을 꾸준히 모니터링하고 백신 거부 운동 단체 등에서 예방접종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유포할 경우 등을 대비해 예방접종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는데도 많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백신 수급과 관련해서는 필수예방접종의 90% 이상을 국가가 지원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백신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글로벌 제약사에서 백신 수출을 제한할 경우 예방접종을 중단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일례로 2017년 7월 네덜란드에서 수입하는 폴리오 단독백신 수입 지연 및 같은 해 10월 피내용 BCG 백신 공급 부족으로 인한 경피용 BCG 백신 임시예방접종 실시 등의 문제가 국내에서 발생한 바 있다는 것이다. 

또 국내 제약회사들의 경우 경영규모가 영세해 백신개발에 비용을 투자하기 어렵고, 임상시험군 확보 등의 문제로 백신 국산화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며, 국가예방접종사업의 원활한 운영·지원을 위해 백신 국산화는 우리나라 예방접종 프로그램에서 해결해야 할 또 하나의 과제라고 강조했다. 
한편 우리나라는 만12세 이하 어린이에게 국가예방접종에 포함된 17종 백신접종 비용을 국가가 전액 지원하는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NIP)을 진행하고 있다.

‘2014~2017년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결과’ 연구에 따르면 국가예방접종사업은 보건소 무료접종에서 출발해 2005년 민간의료기관의 필수접종비용 지원 시범사업 및 2006년 보건소 예방접종 확대 시범사업 등을 거쳐 2014년 민간의료기관까지 확대됐다.

지원 백신도 2009년 8종(피내용 BCG, B형간염, DTaP, IPV, 수두, MMR, 일본뇌염 불활성화 백신, Td)을 시작으로 ▲2011년 9종(DTaP-IPV 추가)▲2012년 10종(Tdap 추가)▲2013년 11종(Hib 추가)▲2014년 13종(일본뇌염 약독화 생백신, 소아 폐렴구균 추가)▲2015년 14종(A형간염 추가)▲2016년 16종(HPV, 인플루엔자 추가) ▲2017년 17종(DTaP-IPV/Hib 추가) 등 매년 확대되고 있다. 지원 백신 추가 및 시행비 전액 지원 등에 따른 예산도 2014년 1780억원에서 2017년 약 3100억원으로 증가했다. 

승인통계로 공표하기 시작한 2015년 전국예방접종률 조사에서 만3세까지 권장되는 7종 백신에 대해 모두 접종한 완전접종률은 88.3%로 나타났고 강원 92.0%, 대전 91.6%, 울산 91.2% 순으로 높았다. 2016년(만3세까지)은 전국 89.2%이며 접종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원 91.8%, 충남 91.5%, 충북 91.2% 순으로 나타났다. 

2017년 만3세 영유아의 전국 예방접종률의 평균 접종률은 96.7%로 서울, 부산, 제주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평균 접종률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년대비 만3세 이하 예방접종 백신 중 MMR 백신을 제외한 8종 백신은 전년대비 0.1%p~0.7%p 정도 증가했다.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
조민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