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3D 프린팅, 현장 도입은 지지부진, 이유는?

의료 3D 프린팅, 현장 도입은 지지부진, 이유는?

기술 기대 높지만 다음 단계 도약 늦어져

기사승인 2019-08-10 03:00:00

의료용 3D프린팅의 다음 단계 도약이 늦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맞춤형 의료의 대표적 사례로 꼽히는 3D 프린팅. 의료분야 3D프린팅 기술은 망가진 신체 조직을 대체하고, 환자의 신체나 병변의 모양을 미리 본떠 수술 성공률을 높이는 등 활용도가 높게 평가된다. 국내 의학계에서도 관련 연구 성과를 연이어 발표하면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그러나 의료 3D 프린팅 기술의 활용도에 대한 기대와 달리 실제 의료현장 도입은 지지부진하다는 지적이다. 연구 성과에 비해 의료현장에서 3D 프린팅이 사용되는 빈도도 드문 상황이다. 대부분 연구 또는 시범적 임상단계에 머물러있기 때문이다. 신의료기술평가, 건강보험 급여여부 평가 등 1~3년의 면밀한 절차를 거치고 시장에 진입한 후에도 의료현장에서 고가의 의료비라는 장벽이 높다. 또 신의료기술이 아닌 기존 의료에 편입된 경우 적정 수가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는 등 풀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상용화되기 까지는 5~10년가량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해외도 비슷하다. 대부분 연구개발 단계로 우리보다 앞선 기술이 있더라도 고가의 의료비로 인해 상용화를 눈앞에 두고 정체돼 있는 상황이다. 다만, 3D프린팅 분야 선점을 위한 기술 경쟁은 치열하게 이뤄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연구와 기술개발, 그리고 이를 뒷받침할 투자역량과 전문인력 부족 등이 다음단계 도약을 위한 해결과제로 지목된다.

의료계에서는 면밀한 안전성 검증과 규제 선진화를 요구한다. 중앙대병원 구강악안면외과 이의룡 교수는 “주목할 점이 있다면 품질과 안전성이다. 추후 다양한 기업들이 허가를 받으려 할 텐데, 의료용 3D프린팅에 있어서는 전향적 무작위 비교연구를 통해 환자에게 이득이 있는지 안전한지에 대해 분석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 김남국 교수는 “그동안 국내 규제환경은 많이 개선됐음에도 새로운 기술을 현실에 적용하려다보니 해석이 모호한 그레이존(Gray zone)이 발생하기 마련”이라며 “세계적으로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장기적 안목의 스마트한 규제가 필요하다. 규제 과학을 제대로 다룰 수 있는 전문가 양성도 중요하다”고 의견을 더했다.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의료용 3D 프린팅이 생각보다 지지부진 한 이유는 산업성에 있다. 새로운 기술 개발도 중요하지만 글로벌에 비해 영세한 국내 기업의 입장에서 이익창출을 무시할 수 없다”며 “최근 우리 경제가 어려운 점도 걱정스러운 부분”이라고 토로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국내 의료용 3D를 해외로 나가면 선호도가 높다. 시장가격이나 기술력도 좋다. 아직 국내 시장군이 형성되지 않은 점과 개발부터 임상 도입까지 기간이 오래 걸리는 부분 등은 극복할 과제라 본다”고 말했다.

전미옥 기자 romeok@kukinews.com

전미옥 기자
romeok@kukinews.com
전미옥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