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은행지주회사 8곳과 비지주 은행 8곳의 BIS(국제결제은행) 기준 총자본비율은 15.00%로 전 분기 말 대비 0.41%p 상승했다.
기본자본비율(13.47%)과 보통주자본비율(12.45%)은 각각 0.37%p, 0.31%p 올랐다. 단순기본자본비율(6.39%)은 0.03%p 하락했다.
지난해 4분기 시중은행 순이익과 증자 등으로 총자본이 3조4000억원 증가(총자본 기준 0.9%)했고,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의 바젤Ⅲ 최종안 도입 등으로 위험가중자산이 30조9000억원(1.6%) 감소했다.
금융당국은 기업대출 신용리스크 산출 기준을 완화하는 바젤Ⅲ 최종안을 지난해 2분기부터 차례로 시행하고 있다. 4분기까지 은행·지주 10곳이 바젤Ⅲ 최종안을 도입했다.
다만 은행 지주회사의 총자본비율은 14.61%로 전 분기 말 대비 0.14%p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증가 등으로 위험가중자산이 1.3% 증가한 결과다.
이에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해 3분기까지는 은행 지주사와 은행(지주회사의 자은행과 비지주 은행)의 자본 비율을 별도로 집계했으나 4분기부터는 은행 지주사와 비지주 은행을 기준으로 국내은행 자본 비율을 집계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바젤은행감독위원회에서도 은행 지주사와 은행을 구분하지 않는다”며 “(자은행보다) 은행 지주의 건전성을 보는 게 맞는다고 판단해 방식을 변경했다”고 설명했다.
은행·지주별 총자본비율을 살펴보면 신한(15.73%)·KB(15.27%)·농협(15.18%)·하나(14.18%)·우리(13.75%) 등 대형 금융지주를 포함한 모든 은행이 BIS 기준 규제 비율(10.5%·시스템적 중요은행은 11.5%)을 웃돌았다.
4분기 중 바젤Ⅲ 최종안을 도입한 산업은행(15.96%)과 수출입은행(15.30%)은 위험가중 자산 규모가 큰 폭으로 감소해 총자본비율이 각각 2.6%p, 0.81%p 상승했다.
인터넷 전문은행의 경우 카카오뱅크(20.03%)는 1조원 규모로 유상증자를 하면서 총자본비율이 전 분기보다 6.58%p 상승했지만, 케이뱅크(17.90%)는 8%p 하락했다.
금감원은 “국내은행의 자본 비율은 규제 비율을 상회하고 순이익을 안정적으로 시현하고 있다”며 “국내은행이 충분한 손실 흡수 능력을 확보하고 자금 공급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자본 관리를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DGB(9.59%)·BNK(9.80%)·우리(9.92%)·JB(10.05%) 금융지주 등은 바젤Ⅲ 최종안을 적용했음에도 보통주자본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것을 염두했을 때 보수적인 자본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보통주자본비율은 국제결제은행(BIS)자기자본비율 중 하나로, 위기 상황에서 금융사가 지닌 손실흡수능력을 보여주는 핵심 지표다. 자본보전완충자본 2.5%p를 포함해 7% 이상(시스템적 중요은행인 우리금융지주는 8%)으로 유지해야 한다.
shwan9@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