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4일 (금)
문형배 “‘책임총리제’ 위헌 여부 답하려면 헌재 구성 완료돼야”

문형배 “‘책임총리제’ 위헌 여부 답하려면 헌재 구성 완료돼야”

헌재 9인 정원…6인 체제 운영 중
“국회·행정부, 조속히 헌재 완성해달라”

기사승인 2024-12-09 13:16:36 업데이트 2024-12-09 13:17:13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의 탄핵심판 2회 변론을 위해 자리에 착석해있다. 연합뉴스
황인성 기자
his1104@kukinews.com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책임총리제’ 위헌 여부에 대해 답하기 위해서는 헌법재판소 구성이 완료돼야 한다고 밝혔다.

문 권한대행은 9일 오전 출근길에 ‘책임총리제에 헌법적 근거가 있느냐“는 취재진의 질의에 “답하기 위해서는 헌재가 완성됐을 때 신속하고 공정한 답이 가능하다”며 “다시 한번 입법부와 행정부에 헌재를 조속히 완성해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어떤 주장이 헌법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따지려면 발언 당사자가 헌법적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며 “그다음에 주장에 대한 위헌성 여부를 따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헌법재판소는 6인 체제로 운영 중이다. 헌법상 헌법재판관의 정원은 9명이나 지난 10월 재판관 3명이 임기를 마치고 퇴임한 이후 후임자가 정해지지 않았다. 

국회는 헌재 공백 사태를 인식하고 국회 몫 3인을 추천하겠단 방침이었지만 계엄령 선포 이후 진척은 없는 상태다. 앞서 야당은 23일 전후로 헌법재판관 후보자 청문회를 진행하고 오는 30일경 본회의에서 임명 동의안을 처리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여당 몫과 관계없이 야당 추천 헌법재판관 후보 2인을 단독 선출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문 권한대행은 ‘12·3 비상계엄’의 위헌성을 묻는 헌법소원에 관해서는 “(공개) 변론을 반드시 할 사건은 아니어서 검토 후 변론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황인성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1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환율 쇼크에 금융권 긴장…지주사 자본관리 ‘비상등’

원·달러 환율이 1500원대 진입을 위협하면서 금융권의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 ‘밸류업’(기업가치 제고)이라는 숙제를 짊어진 주요 금융지주사의 자본관리 전략에도 적신호가 켜질 전망이다.앞서 지난 2일(현지 시각) 트럼프 행정부는 국가별로 각기 다른 상호 관세를 부과했다. 시장의 예상보다도 높은 수치다. 주요 무역국을 살펴보면 중국 34%, 유럽연합(EU) 20%, 베트남 46%, 타이완 32%, 일본 24%, 인도 26%, 한국 25%, 태국 36% 등이다.미국의 상호관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