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시는 2025년도 정부예산을 올해보다 4.1% 증액된 4조 4514억 원을 확보하면서 민선 8기 후반기 사업추진을 위한 동력을 얻었다고 11일 밝혔다.
내년도 정부예산은 국고보조금 2조 4094억 원에 지방교부세 등을 포함한 금액으로 올해 예산보다 1774억원(4.1%) 증액된 규모다.
이같은 결과는 "이장우 대전시장을 비롯한 지휘부가 국회 및 관련 부처를 여러 차례 방문했고 여야 정치권 공조 및 기재부 협의를 이끌어 내면서 국비 확보로 이어졌다"고 대전시는 평가했다.
내년도 정부예산엔 개방형 양자공정 인프라 구축, 글로벌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 등 신성장산업과 관련한 다수 사업이 포함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11일 착공한 도시철도 2호선 트램 내년도 시설비 586억 원까지 반영돼 대전시민들의 숙원사업이었던 도시철도 2호선 사업의 원활한 추진도 가능할 전망이다.
반면 국회 증액 예산 심사가 무산됨에 따라 △우주산업 클러스터 인력양성(58억 원) △웹툰 IP첨단 클러스터 조성 사업(15억 원) △서부권 보훈휴양원 건립(1억 원) △국립산림재난안전교육훈련센터 건립(9.3억 원) △자유총연맹 자유회관 시설보강(21억 원) △도시철도 1호선 철도무선통신망 구축(64.7억 원) 등은 내년도 추진이 보류됐다.
분야별 정부 예산안 현황을 살펴보면 SOC 사업 분야에는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586억 원)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건설(384억 원) △대덕특구 동측 진입로 개설(80억 원) △정림중~버드내교 간 도로 개설(90억 원) △경부고속도로 회덕IC 연결도로 개설(50억 원) 등이 반영됐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내년도 국비 확보로 대전시가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한 동력이 마련된 만큼 현안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밝히고 "이번 국회에서 증액되지 않은 사업에 대해서는 2025년도 정부 추경에 반영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