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5일 (토)
‘광주 화정아이파크 붕괴’ 현장 책임자 5명, 징역 2년~4년

‘광주 화정아이파크 붕괴’ 현장 책임자 5명, 징역 2년~4년

전 현산 대표 이사 등 경영진 ‘무죄’

기사승인 2025-01-20 17:52:00
HDC현대산업개발이 시공을 맡은 화정아이파크 공사 현장. 쿠키뉴스 자료사진
조유정 기자
youjung@kukinews.com

7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광주 화정아이파크 붕괴 사고 책임자들이 최고 4년형을 선고 받았다. 원·하청 경영진은 무죄를 선고받았다. 

광주지법 형사11부(고상영 부장판사)는 20일 업무상과실치사 등 혐의로 기소된 HDC현대산업개발, 하청업체, 감리업체의 책임자인 피고인 20명(법인 3곳 포함)에 대해 선고공판을 진행했다. 피고인 중 현산과 가현 현장소장 2명에게는 각각 최고 징역 4년을 선고했다. 

사고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된 하부층 동바리 해체에 관여한 현산 측 2명, 가현 측 1명 피고인은 징역 2~3년의 실형이 선고됐다.

데크플레이트와 콘크리트 지지대 설치에 관여한 현산·가현 측 피고인 2명에게는 각각 징역 2년과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했고, 현산 1·2공구 총책임자도 징역 2년 6개월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았다. 감리회사 광장 측 피고인 3명에게는 징역 1년 6개월~3년에 집행유에 3~5년이 선고됐다.

현산, 가현, 광장 등 법인에는 각각 5억원, 3억원, 1억원씩 벌금형을 결정했다. 원·하청 경영진에 해당하는 권순호 당시 대표이사(현재 퇴직) 등 3명에게는 무죄를 선고했다. 콘크리트 품질 부족 현산 관련자들 3명도 무죄를 받았다. 

재판부는 검찰이 제시한 3개 사고원인 중 △ 동바리 조치 해체 △ 구조검토 없이 데크플레이트·콘크리트 지지대 설치 등은 인정했으나 나머지 콘크리트 품질·강도 부족은 증거가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이에 보고 관련 혐의자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다.

또 현산과 가현 측 대표 등 경영진에 대해서는 추상적인 지휘 감독의 책임은 있지만 소속 직원의 과실에 대한 직접적인 주의의무는 없다며 무죄라고 판단했다. 감리의 경우, 감리를 소홀히 한 책임은 있지만 원청과 하청이 공사 정보를 제대로 제공하지 않은 제한사항이 있었다고 보고 집행유예를 선고했다.

재판부는 “7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중대한 피해가 발생했고 수분양자들에게 경제적 피해를 안겼고 주변 상가 주민들에게도 상당한 피해를 줬다”며 “다만 피해자 측과 합의해 처벌 불원서가 제출됐고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기 전 사건으로 경영진에게까지 책임을 물을 수 없다”고 판시했다.

재판부는 실형을 선고한 피고인들의 항소심 방어권 보장을 위해 법정구속하진 않았다.

앞서 2022년 광주 서구 화정아이파크 아파트 신축 건설 현장에서는 콘크리트 타설 중 최상층인 39층이 무너지기 시작해 16개 층이 순차적으로 붕괴하면서 작업자 6명이 숨지고 1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조유정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미국인 2명 중 1명 “트럼프 관세정책 반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전 세계를 상대로 막대한 관세를 메기는 가운데 자국 여론도 엇갈리고 있다. 5일 외신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엿새간 미국 유권자 105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54%가 트럼프 관세정책에 반대했다. 지난 1월에는 관세정책을 ‘지지(48%)한다’는 응답이 반대(46%)를 앞섰지만 이번엔 지지 응답률이 42%로 감소했다. 응답자 4분의 3은 관세 정책으로 물가 상승을 우려했다. ‘트럼프 경제정책에 반대(52%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