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원내 비상대응 체계 가동…금융시장 안정에 총력”

이복현 “원내 비상대응 체계 가동…금융시장 안정에 총력”

기사승인 2025-04-08 11:25:46
8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미국 상호관세 대응 점검 회의’가 열리고 있다. 금감원 제공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국내외 변동성이 확대됨에 따라 원내 비상대응 체계를 가동해 산업별 피해분석 및 금융시장 안정에 총력 대응할 것을 당부했다.

이 원장은 8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미국 상호관세 대응점검회의’를 개최했다. 금감원은 매주 금감원장 주재로 상호관세 대응점검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총 5개 반(총괄반·시장점검반·산업분석1반·산업분석2반·권역별대응반)을 구성해 관련 실무 작업을 진행한다.

이 원장은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및 중국의 보복조치로 인한 무역갈등 확산 가능성이 커져 대내외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그는 “다수 국가에 대한 동시다발적인 차등관세로 우리 산업에 미치는 파급경로가 매우 복잡한 만큼 수출품의 생산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피해 수준을 정밀 분석해야 한다”며 “직접적 영향 받는 수출기업과 중소 협력업체에 대한 영향도 살펴 대응방안을 강구해달라”고 전했다.

이어 “강도 높은 상호관세 조치로 인한 부정적 시장 파급효과를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시장안정 조치를 시행할 수 있도록 대비해야 한다”면서 “상호관세 부과 이후 금융권의 기업 자금 취급 동향 및 기업대출 건전성 추이도 면밀히 점검해 달라”고 강조했다. 또한 “주가 급락으로 ELS·레버리지 상품 등 개인투자자 중심 투자 손실 확대 우려가 커질 수 있으므로 고위험 상품판매 현황 점검 등 소비자보호를 위한 선제적 대응도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이 원장은 이어진 임원회의에서 금융회사의 내부통제·리스크 관리 강화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건전성 및 소비자보호 원칙의 허용 범위 내에서 합리적인 규제방안을 찾아줄 것을 지시했다.

은행 부문에서는 기업에 원활한 자금 지원을 위한 자본 규제 관련 인센티브 부여 방안이, 보험 부문에서는 자본규제 합리화 및 보험부채 평가기준 정비 등 제도 개선에 따른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충분한 준비기간을 주는 방안이 언급됐다.

아울러 이 원장은 “최근 거래소와 일부 증권사에서 전산장애가 연이어 발생하며 자본시장 거래 안정성에 대한 불안이 증폭될 수 있다”며 “전자금융거래가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협업해 면밀한 점검과 기민한 대응에 힘써달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고발생 시 투자자 피해보상이 신속히 이뤄질 수 있게 해달라”고 덧붙였다. 

김다인 기자
daink@kukinews.com
김다인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