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후보는 25일 농업공약을 제시하고, 전남 나주시 전라남도농업기술원을 찾아 농정감담회를 열었다.
간담회에 앞서 이 후보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기후위기 시대의 농업은 더 이상 사양산업이 아니라 식량주권이 걸린 국가안보의 핵심 산업”이라며 “농정 대전환으로 위기를 기회로 바꾸고, K-농업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다섯 가지 전략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농업재해피해복구비 지원단가 현실화, 보험료 할증 최소화로 실질적인 재해보상 지원, 필수 농자재 지원제도 도입으로 농축산업 생산원가 부담 완화, 농업인 안전보험 보장 범위 단계적 확대를 제시했다.
로봇과 AI 등 첨단기술을 적용한 스마트농업 확산을 통해 농작업의 편의성‧효율성 향상, 중소농가에 적합한 ‘맞춤형 스마트팜 모델’ 개발, 지역공동체가 스마트농업을 주도하는 농업경영체 육성, 주민참여형 농지 규모화, 스마트팜 정책‧금융지원 획기적 개선, 청년 농업인 육성 등을 내놓았다.
노후가 보장되는 농업 실현을 위한 농업인 퇴직연금제 도입, ‘농지 이양 은퇴직불금’ 제도 재설계, 영농형 태양광 발전을 통한 ‘햇빛연금’ 확대 등을 제시했다.
공익직불금 확대와 다양한 직불제도 도입 추진, 농어촌 주민수당제도 단계적 확대, 농식품부 예산 비중 정상화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양곡관리법 개정을 통한 쌀값 안정적 보장, 타 작물 경작 전환 촉진, 생산자 조직의 식품업 진출과 해외시장 진출 지원, 식량자급률‧식량안보지수 상향, GMO 완전표시제 단계적 추진, 친환경 유기농업‧저탄소 농업 지원 확대 등을 제시했다.
이 후보는 “농업은 기후 위기 시대에 식량주권을 지키는 국가안보의 최전선이자, 국가 생존을 위한 기간산업”이라고 강조하고 “농정 대전환으로 농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농민의 삶을 지키며,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동력을 키워내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