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용 회장의 부당합병·회계부정 혐의에 대한 대법원 판결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삼성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1·2심 모두 무죄가 선고된 만큼 무죄가 최종 확정되면 약 10년간 이어진 ‘사법 리스크’를 떨쳐내게 된다.
16일 재계와 법조계에 따르면 오는 17일 대법원 3부(주심 오석준 대법관)는 부당합병·회계부정 의혹으로 기소돼 1·2심에서 무죄가 선고된 이 회장에 대한 최종 판단을 내릴 예정이다.
이 회장은 2015년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 과정에서 최소 비용으로 경영권을 안정적으로 승계하고 지배력을 강화할 목적으로 사내 미래전략실의 부정거래와 시세조종 등에 관여한 혐의로 2020년 9월 기소됐다.
2023년 2월 1심에 이어 1년 만인 지난해 2월 2심에서도 무죄가 선고됐다. 이에 따라 재계 안팎에서는 이 회장이 대법원에서 최종 무죄가 확정되지 않겠냐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삼성은 그 동안 이 회장의 사법 리스크로 과감한 투자 결정이 제때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그룹의 위기가 심화했다. 실제로 2017년 3월 당시 9조3000억원 규모로 하만을 인수한 뒤 삼성의 대규모 인수·합병(M&A) 시계도 사실상 8년 넘게 돌아가지 않았고 있다.
다만 2심 무죄 선고 이후로는 사법 리스크 해소 기대와 함께 그룹의 경영 활동이 점차 탄력을 받는 상황이다. 지난 4월 자회사 하만을 통해 미국 마시모의 오디오 사업부를 5000억원에, 5월에는 독일 공조업체 플렉트를 2조4000억원에 인수하는 등 그룹 차원의 빅딜에 다시 시동이 걸리는 분위기다. 이달 초에는 미국 디지털 헬스케어 회사 젤스를 인수하기로 계약하기도 했다.
이 회장이 사법 리스크를 해결할 경우 최우선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는 그룹의 주력인 반도체 사업의 기술력 회복과 실적 개선이다. 최근 삼성전자는 반도체 부문의 부진으로 2분기 영업이익이 6개 분기 만에 5조원을 하회하는 등 실적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AI 산업의 핵심으로 떠오른 고대역폭 메모리(HBM)는 엔비디아 등 주요 고객사 납품이 지연되면서 수익성 개선의 실마리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준법감시 및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를 통한 경영 리스크 최소화, 순환출자 해소 등 지배구조 개편 등 숙제도 이 회장을 기다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