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서울시당위원장 경선 방식을 ‘대의원’에서 ‘책임당원’으로 바꾸는 안을 비상대책위원회에 상정했다. 혁신위는 당원중심 혁신안이라고 설명했지만, 당내에서는 경선 중 룰 변경으로 형평성이 깨졌다고 비판했다.
16일 정치권에 따르면 혁신위는 시당위원장 선출 방식을 ‘대의원 경선’에서 지역 책임당원 투표로 바꾸는 방안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대위는 해당 혁신안을 이른 시일 내 처리할 예정이다.
비대위 의결로 당헌·당규가 바뀌게 되면 서울 10만여명의 책임당원이 서울시당위원장을 선출하게 된다. 4000여명 규모의 대의원 경선보다 규모가 커지게 된다. 혁신위는 이를 당원 중심 정당을 위한 안건이라고 설명했다.
윤희숙 혁신위원장은 전날 쿠키뉴스와 통화에서 “시당위원장 선출 방식을 복수의 혁신안으로 올렸다”며 “혁신위의 중점은 ‘당원’으로 시당위원장 선출 과정에 당원의 의사가 포함되지 않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원들이 서울시당위원장을 선출하게 되면 서울시당 대표가 된다. (선출된 대표는) 정치적인 위상도 상당히 강화될 것”이라며 “인력과 권한, 운영 자율성 등은 중앙당에서 많은 지원을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당 측은 비대위의 결정에 따라 ‘책임당원 경선’ 적용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책임당원 경선이 도입될 경우 현역의원은 프리미엄을 누릴 가능성이 커진다. 친윤계 조정훈 의원과 친한계 배현진 의원 등이 힘을 받을 전망이다.
혁신위도 비대위의 결정을 기다리는 상황이다. 윤 위원장은 ‘시당위원장 경선 룰 변경’ 우려에 관해 “전당대회가 목전에 있는 상황이다. 비대위에서 이를 언제 적용할 것인지 정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당원 중심의 혁신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번 혁신안이 경선 중 도입되면 안 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다른 지역의 시도당위원장 선출이 끝난 만큼 서울도 같은 방식으로 경선을 치러야 한다는 지적이다.
국민의힘은 이날 경기·인천 시도당위원장을 선출할 예정이다. 앞서 국민의힘은 부산(정동만), 울산(박성민), 대구(이인선), 경북(구자근), 강원(이철규), 전북(조배숙), 전남(김화진), 세종(이준배), 충남(강승규) 지역 시도당위원장 선출을 끝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같은 날 본지와 통화에서 “경선에 돌입한 상황에서 규칙이 변경될 경우 형평성에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 도입 과정도 공정성을 확보해야 한다”며 “모든 지역의 시당위원장을 선출하고, 서울에만 적용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의원만 해도 4000여명이 넘는 상황이다. 지역 책임당원 경선을 시행하면 10만여명이 투표를 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서울 지역을 한정해 ‘전당대회’를 하자는 얘기냐”고 반문했다.
다른 관계자도 “당원중심 정당은 좋지만, 당원의 동의가 없는 지역은 대표가 아니냐. 형평성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며 “서울만 별도로 규칙을 적용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처사”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적용하는 시점과 방식에 대해서도 후보자들의 동의가 필요하다. 이렇게 치러진 경선은 잡음을 남길 수 있다”며 “당 지도부와 혁신위에서 조금 더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