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민수미 기자 =온라인 방식으로 치러진 중간고사 시험에서 일부 학생이 부정행위를 저지르다 발각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인하대 의대에서 벌어진 집단 부정행위에 이어 서강대에서도 같은 사건이 일어나 시험이 무효처리 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수업 방식 변화에 따른 부작용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대학생들은 부정행위를 이용해 시험을 보는 방식이 이미 만연하게 퍼져 있어 ‘놀랍지 않다’는 반응이다.
서강대에 따르면 지난달 진행된 이 대학 수학과 온라인 중간고사에서 일부 학생들이 모여 답안 내용을 공유하면서 시험을 치렀다는 주장이 2일 제기됐다. 담당 교수는 사실관계를 파악한 뒤 실제 부정행위가 있었다는 것을 확인하고 학과장과 논의, 해당 과목의 중간고사 성적을 무효 처리했다.
앞서 인하대에서도 3월과 4월에 각각 온라인으로 치른 의학과 2개 과목(근골격계·내분비계) 단원평가에서 2학년생 41명이 부정행위를 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4월 온라인으로 치른 1개 과목(기초의학총론) 중간고사에서도 1학년생 50명이 부정행위를 저지른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은 각각 2∼9명이 무리를 지어 한 장소에서 함께 문제를 풀거나 전화 또는 SNS를 이용해 답을 공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하대는 부정행위자 전원의 해당 시험을 0점 처리하고 담당 교수 상담과 사회봉사를 명령했다.
이처럼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자 대학들은 학생들을 상대로 온라인 수업과 비대면 평가를 진행 중이다. 집단감염의 우려 때문이다. 그러나 비대면 평가의 경우 대리시험, 부정행위 등의 역기능이 존재하고 이를 차단할 만한 대책은 현재 전무한 상태다. 집단 부정행위가 코로나19 영향으로 발생한 부작용처럼 여겨지고 관련 내용이 연일 대서특필 되고 있지만, 대학생들은 “그동안 겉으로 드러나지 않았을 뿐 비일비재한 일”이라고 입을 모았다.
서울 소재 대학교에 다니는 A씨는 “온라인 개강 전에도 사이버 강의 시험을 보는 경우 집단 부정행위가 당연한 듯 벌어졌었다”며 “보통 온라인 시험은 절대평가가 많았고, 절대평가의 경우 다 같이 점수를 잘 받으면 좋다는 생각이 있어 대부분의 학생이 부정행위에 가담하는 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미 공공의 이해관계가 형성된 상황이라 ‘안 하면 손해’라는 생각이 지배적”이라면서 “이번에 걸린 학생들은 ‘코로나19 상황으로 재수가 없었다’고 보는 시각이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대학생 B씨 역시 “대학생들이 많이 쓰는 한 어플에는 학교마다 게시판이 있는데 시험 기간이 되면 ‘온라인 시험 같이 볼 사람 구한다’는 글이 올라온다”면서 “그렇게 만난 사람들이 단체카톡방을 이용, 시험 시간에 다 같이 접속해 정답을 공유한다”고 밝혔다. B씨는 “집단 부정행위에 가담하지 않는 학생들에게 시험은 절대적으로 불리하다”며 “그런 걸 보면 내심 부럽고 공부를 하는 자신이 바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또 다른 대학생 C씨는 “입학했을 당시부터 너무 당연하게 진행됐던 일이라 이게 부정행위라고 생각하지도 못했다”며 “이런 행위로 지금까지 처벌받은 학생도 없었고 학교 측의 이렇다 할 제지도 없어 용인되는 범위라 착각했다”라고 털어놨다. C씨는 “많은 이가 잘못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을 것”이라면서 “열심히 시험을 준비한 학생들을 박탈감을 느낄 것 같다”고 전했다.
서울에 있는 한 대학원에 강의를 나가는 D교수는 현 상황에 대해 “코로나19가 아니더라도 온라인의 비중이 많이 늘어난 상태에서 앞으로 온라인 평가에 대한 학교와 교수들의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온라인 수업으로 교수들 역시 기존 수업방식보다 ‘전달자’로서의 능력이 부각되었다”며 “교수가 강의를 못 하면 살아남지 못하고 학생들도 자기 생각을 주관식으로 펼쳐야만 하는 상황이 왔다. 모두에게 과도기가 아닌가 생각된다”고 말했다.
mi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