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 7일 발표한 건강보험 진료현황에 따르면, 이러한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 수는 최근 5년간(2016~2020) 연평균 4.5%씩 늘었다. 2016년 47만1653명이었던 연간 진료인원은 2020년 56만2250명으로 9만597명 증가했다. 인구 10만명당 환자 수로 따지면, 2016년 929명에서 2020년 1095명으로 상승했다.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 대부분은 여성이다. 지난해를 보면 총 진료인원(56만2250명)의 83.6%인 47만373명이 여성이었다. 다만, 환자 증가세는 남성에서 더 뚜렷하다. 지난 5년간 여성 환자 수는 17.4% 증가했는데, 남성 진료인원은 7만1029명에서 9만1877명으로 29.4% 늘었다.
연령대별로는 2020년 전체 진료인원 가운데 50대가 23.4%(13만1617명)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60대 21.6%(12만1199명), 40대가 18.5%(10만3913명) 순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내분비내과 박경혜 교수는 50~60대 환자가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50~60대가 호발연령이라기 보다는 건강검진이나 다른 사유에 의한 병원 진료 시 갑상선기능검사를 시행하게 되면서 많이 발견하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환자 수가 늘고, 진료수가가 상승하면서 ‘갑상선기능저하증’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총 진료비는 2016년 약 1169억원에서 2020년 1616억원으로 38.2%(447억원) 증가했다. 환자 1인당 평균 진료비는 24만8000원에서 28만7000원으로 많아졌다.
한편, ‘갑상선기능저하증’은 갑상선호르몬제제를 복용해 부족분을 채워줌으로써 쉽게 치료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박 교수는 “약제는 보충약제이지 병을 치료해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의사의 지시 없이 중단해서는 안된다”고 조언했다.
ssh@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