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당국이 감염취약시설에 대한 방역관리 체계를 재정비할 방침이다.
10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020~2021년 코로나19 집단감염이 있었던 요양·정신병원의 대응사례와 개선사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응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감염취약시설은 요양병원·요양원·정신병원·장애인수용시설 등이다.분석 결과 집단감염이 발생한 병원 중 대응 우수사례로 꼽히는 곳은 △평상시 감염관리자 지정 △병상 간 충분한 거리 확보 △확진자 발생 시 다인병실 내 물리적 격벽 설치 △확진·비확진자 동선 구분 분리로 추가 확진자를 최소화한 것으로 확인됐다.
개선사례의 경우 △병실 규모(입원실 설치 병상수) 축소 △자연·기계 환기를 통한 공기 순환 △병원 내 모든 부서가 참여하는 모의훈련 실시 등을 통해 감염관리 방안을 체계화해 추가적인 집단감염을 차단할 수 있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요양·정신병원의 자체적인 감염관리 역량 강화와 인식 제고 △예방적 차원의 시설·환경 개선 △유기적 대응체계 구축 등을 감염확산 차단의 주요한 요인으로 꼽았다. 아울러 상황별 모의훈련과 감염관리 교육을 통해 병원·시설별 자체 대응역량을 강화할 것을 강조했다.
정기석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회 위원장은 “3월 자료에 의하면 코로나19 사망자 중 감염취약시설 사망자의 비중이 무려 32.7%”이라며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대구·경북에서 발생한 확진자 약 140만명 중 요양원·요양병원, 주·야간보호센터 관련 확진자는 약 3만5000명으로 그 비중은 2.5%에 달한다”고 우려했다. 이어 “이 시설에 대한 관리를 더 집중해서 철저히 한다면, 현재 코로나19 치명률을 0.04%에서 훨씬 더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 위원장은 감염관리자 지정과 교육을 관건으로 꼽았다. 그는 “위원회에서 보기에 부족한 점은, 각 시설마다 감염관리자를 제대로 지정을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위원장은 “지금도 감염관리자 지정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지만 그들의 교육이수율을 보면 불과 17.3%밖에 되지 않는다”며 “지정만 했지, 제대로 된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의미”라고 지적했다.
감염관리자 간 연계와 보상의 중요성도 강조됐다. 정 위원장은 “각 지자체별로 좋은 사례와 잘못된 사례가 나오고 있다”며 “이를 각 시설에 있는 감염관리자가 숙지하고 서로 공유한다면 훨씬 좋은 관리가 가능할 것이 확실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감염관리자들에 대해서 적절한 보상을 해주고, 이분들의 제안 및 요구 사항에 대해서 시설관리자와 지자체, 중앙정부가 적극적으로 응해서 즉시 시정해 나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성주 기자 castleowner@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