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혈당 관리 다이어트를 위해 연속혈당측정기(CGM)를 구입하는 일반인이 늘고 있다. 반면 CGM 사용이 적극 권장되는 당뇨 환자들의 사용률은 저조해 이들을 위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다양한 CGM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인공지능(AI)을 접목해 고혈당이나 저혈당을 예측하고 알려주는 기능까지 더해졌다. 제품의 기능 확대는 접근성을 높였다. 혈당을 살피는 당뇨 환자들 외에 다이어트 관련 어플리케이션 및 유튜브 채널 등을 통해 일반인에게도 관심을 얻고 있다.
혈당 관리 플랫폼인 닥터다이어리의 경우 한독의 ‘바로잰핏’, 아이센스의 ‘케어센스에어’, 한국애보트의 ‘리브레’와 연동해 당뇨 및 비만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했다. CGM을 활용한 다이어트 솔루션 ‘글루어트’ 프로그램을 제공 중이기도 하다. 한편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는 CGM을 통해 체중감량을 이뤘다는 후기가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CGM 할인판매 정보를 공유하거나 공동구매를 진행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CGM은 500원짜리 동전 크기의 패치를 팔이나 복부 등에 붙여 사용하는 측정기로, 별도 채혈 없이 실시간으로 혈당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공복 상태에서 특정 음식을 섭취할 때 혈당이 급격하게 올라갔다 내려가는 현상을 ‘혈당 스파이크’라고 하는데, CGM을 쓰면 언제, 무엇을 먹고나서 혈당스파이크가 오는 지 한 눈에 확인이 가능하다.
혈당스파이크는 인슐린 분비를 급속히 늘려 노화 속도를 촉진하고, 체내 지방 축적을 더해 지방 대사 효율을 떨어뜨린다. 이에 음식을 조절해 급격히 인슐린 수치가 높아지는 상황을 막는 ‘CGM 다이어트’가 인기를 끄는 상황이다. 대한비만학회 등은 ‘CGM이 일반인의 체중감량에 효과적이라는 근거는 부족하다’고 입장을 밝혔지만, 혈당 조절에 유용하고 건강한 식단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이 지속되고 있다.
반면 일반인의 커지는 관심도와 달리 CGM을 써야 할 당뇨 환자의 사용률은 떨어지고 있다.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CGM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1형당뇨병 환자는 10%에 불과하다. 2형당뇨병은 정확히 집계되진 않았지만 급여 적용이 안 되는 것을 감안하면 사용 비율이 낮을 것으로 예측된다.
문제는 당뇨 환자 대부분이 혈당과 체중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1형당뇨병환우회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1형당뇨병 환자의 79.1%는 혈당 관리가 어렵고 완치가 되지 않아서 치료에 고충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또 혈당 변화에 따른 음식 조절이 쉽지 않다고 밝힌 환자가 19.2%로 나타났다. 2형당뇨병도 마찬가지다. 당뇨병 환우회인 당뇨와건강이 진행한 인식조사 결과를 보면 국내 2형당뇨병 환자의 당화혈색소 목표 달성률이 40%에 그치며, 꾸준히 식단 및 체중 관리를 하는 경우는 54%에 불과했다.
전문가들은 CGM을 활용하면 당뇨병 환자들이 정확한 혈당 수치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당뇨병 관리 계획을 세우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말한다. 미국 당뇨병학회, 대한당뇨병학회 등은 1형당뇨병 환자에게 필수적으로 CGM을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인슐린 주사요법을 받는 2형당뇨병 성인에서도 효율적인 혈당 조절을 위해 권장된다.
조현 순천향대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CGM은 정부 지원을 통해 과거보다 접근성이 높아졌지만 환자의 사용률은 여전히 낮다”며 “새로운 기기에 대한 거부감이 높고, 당뇨병이나 당 조절에 대한 경각심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이어 당뇨 환자들이 CGM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인식 개선 노력과 교육이 필요하다고 했다. 조 교수는 “당뇨병 진단 초기부터 CGM을 권장해 익숙해지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며 “경험을 해보면 혈당 조절이 더 쉽고 개선된다는 것을 환자 스스로 느끼게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환자에게 더 많은 교육을 해야 하고, 경험을 통해 습관을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지윤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는 “CGM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면 의료진의 심화교육이 이어져야 한다”며 “당뇨 환자가 심층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김 교수는 “CGM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환급 방식으로 운영되는 요양비 지원이 아닌 요양 급여 전환이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